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伊 쇼크, 그리스와는 차원 달라… 당분간 충격 불가피"

이탈리아의 디폴트 우려로 10일 코스피지수가 94포인트나 급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16원 이상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이 요동을 치자 서울 을지로2가 외환은행 본점의 딜러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모니터를 보고 있다. 이호재기자


옵션만기일까지 겹쳐 장 막판 프로그램 매물 쏟아져 이탈리아가 국가부도(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에 옵션 만기까지 겹치면서 국내 증시가 5% 가까이 급락하며 또다시 공포에 휩싸였다. 증시 전문가들은 유럽 3위의 경제대국인 이탈리아가 구제금융을 받게 될 경우 그 파장은 그리스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클 것이라며 따라서 국내 증시도 단기적인 충격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10일 코스피지수는 전일 보다 5.30%(94.28포인트)나 곤두박질쳐 1,813.15에 장을 마쳤다. 이는 지난 9월23일(103.11포인트)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이날 증시가 급락한 것은 이탈리아 국채 수익률이 전일 7%대로 치솟으면서 디폴트 가능성이 높아진데다 옵션만기일을 맞아 국가ㆍ지자체로 추정되는 기타계의 프로그램 물량이 쏟아져나오면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강현철 우리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유럽 최대 채권 청산기관인 LCH 클리어넷이 이탈리아 국채에 대한 담보금을 15%로 인상하면서 매도가 급증한 것이 직격탄이 됐다”며 “유로존에서 국채금리 6%대 진입은 위험신호, 7%는 임계점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리스와 아일랜드는 국채금리가 7%를 넘어선지 20여일만에, 포르투갈은 2개월만에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전문가들은 위기에 빠진 이탈리아가 구제금융을 신청할 경우 위기가 유럽 전역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탈리아가 유럽 3위의 경제대국인데다 프랑스(2,897억 유로), 독일(1,164억 유로) 등 유럽 주요국들이 이탈리아 국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영원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이탈리아 국채에 대한 유로존 노출도는 5,785억유로대로 이미 구제금융을 신청한 그리스ㆍ포르투갈ㆍ아일랜드 국채 보유 규모를 모두 합한 5,019억 유로를 훨씬 초과하는데다 민간은행 보유규모도 막대하다”며 “이탈리아 국채에 대한 손실인식이 불가피해지면 유럽의 재정위기가 심각한 국면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다. 김성봉 삼성증권 시황팀장은 “이탈리아가 구제금융을 신청할 경우 스페인과 프랑스로 위기가 확산될 가능성이 있고 제2 리먼사태까지 우려된다”며 “내년 1ㆍ4분기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이탈리아 국채의 원금과 이자가 1,700억 유로에 달하는데 현재 조성된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규모로는 충분히 지원할 수가 없어 구제금융을 신청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강현철 팀장은 “앞으로 전개 가능한 수순으로 볼 때 이탈리아의 구제금융 신청은 필연적인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독일 재무장관도 이탈리아가 EFSF 자금지원을 요청해야 한다고 밝힌 것도 구제금융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로 국내 증시가 단기적으로 악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하지만 이번 사태가 제2리먼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단기적으로는 이미 7%를 넘어선 이탈리아 국채 금리 상황을 감안하면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이 불가피하지만 이번 사태가 보다 기민한 대책마련에 나서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강현철 팀장은 “그리스에 이은 이탈리아 사태로 EFSF 레버리지 또는 차입안이 이달 중 구체화될 것으로 보이는데다 IMF 증액안도 연내 재논의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탈리아의 구제금융이 급격한 금융위기로 갈 수 있다는 극단적 가정 보다 오히려 구체적인 계획을 도출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영원 연구원도 “GDP대비 이탈리아의 총부채 비중은 118%로 그리스에 이어 유로존 내 두번째 수준이지만 GDP 대비 재정적자 비중은 4.48%로 비교적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유럽중앙은행(ECB)의 국채 매입 확대 등 단기적인 수급대책을 마련하고 재정개혁법안의 통과 등으로 중장기적인 해법을 모색한다면 시장은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앞으로 유로존의 구체적인 해결책이 도출되고 내년 상반기 경기선행지수 등 경기 지표의 반등이 나타날 때까지 보수적인 관점을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