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서울 주택공급 확대 대안 '주목'

"준공업지역내 공장부지를 택지로 활용"<br>허용땐 구로·금천등 낙후지역 개발 탄력<br>市"장기관점 검토" 조례안 심의 또 보류


서울시 준공업지역 내 공장부지를 택지로 활용하는 방안이 새로운 수도권지역 주택공급 확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준공업지역 내 공장부지에 공동주택을 짓도록 허용할 경우 구로구ㆍ금천구ㆍ강서구 등 상대적으로 낙후된 서울 서남부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수도권 주택공급이 시내에는 없고 수도권 외곽에만 집중돼 있는 정부 주택공급 로드맵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서울시 준공업지역 내 공장부지는 총 211만평. 판교 신도시(281만평)와 엇비슷한 수준이다. 28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조달현 의원 등이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에 대한 심의를 지난 8월에 한 차례 보류한 데 이어 최근 열린 회의에서도 재차 심의를 보류했다. 이 법안은 준공업지역 내 공장이 이전할 부지에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현행 서울시 조례안 35조 2항에는 시장이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장 이적지에 기숙사를 제외한 공동주택을 건축할 수 없도록 돼 있다. 개정 발의된 조례안은 공장부지 면적 대비 20% 이상 공공시설을 제공하고 용적률의 20% 이상 임대주택을 건설하는 조건으로 공동주택을 허용할 수 있게 했다. 서울시의회가 보류한 상태지만 준공업지 비중이 높은 구청들은 조례안 개정에 맞춰 준공업지 내 공장부지에 공동주택을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서울시가 준공업지역의 총면적을 유지하기 위해 마곡지구 산업단지 일부를 준공업지역으로 지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대감은 더욱 커졌다. 현재 강서구는 지역 내 제일제당ㆍ대상ㆍ한일철강 등의 공장이 이전하면 이 공장부지에 공공용지를 기부채납하고 현행 400%인 용적률을 주거지역 수준인 200~250%로 낮춰 아파트를 지을 방침이다. 구로디지털단지의 배후 주거단지를 조성하려는 금천구도 시흥동 대한전선 부지와 독산동 코카콜라 부지 개발을 앞두고 있으며 영등포구는 문래동ㆍ양평동ㆍ당산동 일대 167만평에 달하는 준공업지역의 새로운 활용이 지역 개발의 필수 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서울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도시계획은 한 번 세우면 바꾸기가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올해 초부터 검토해온 것도 어떤 개선책이 필요한지에 대해서일 뿐 구체적으로 방향과 일정을 잡아놓고 있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