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G20 정상회의] 정부 '11월 정상회의' 준비 본격화

준비위원회로 조직 일원화<br>주회의장 서울코엑스 유력<br>경회루서 정상만찬 추진도


11월 G20 정상회의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정부는 이미 지난해 11월23일 대통령직속 기관으로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킨 데 이어 올해 각 부처 업무보고에서도 G20 정상회의 관련 준비 계획을 대거 포함시켰다. 지방자치단체도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글로벌 무대에 데뷔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삼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 정부는 우선 흩어져 있던 조직을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로 일원화했다. 기존 기획재정부에 있던 G20 기획단과 외교통상부의 관련 부서, 청와대의 G20 기획조정위원회 등을 통합한 준비위는 기획조정단ㆍ행사기획단ㆍ홍보기획단 등으로 구성돼 각각 의제설정ㆍ의전 및 행사준비ㆍ대외홍보 등 이미 구체적인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정부는 또 지방에서 분산 개최하기로 결정한 G20 재무장관회의, 재무차관회의, 셰르파(Sherpa)회의(사전 교섭 회의), CEO 포럼 등 기타 회의의 개최지를 선정하는 작업을 진행 하고 있다. 각국 정상들의 숙박ㆍ이동편의ㆍ경호 등을 고려해 서울 정상회의 주회의장으로 서울 삼성동 COEX가 유력함에 따라 COEX 주변 시설을 G20 회의의 주요 의제 중 하나인 '기후변화'에 맞춰 친환경 시설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상 만찬 장소는 서울 경복궁 경회루가 가장 한국적이며 품격 있는 공간이라는 의견에 따라 문화재청과의 협조 하에 정상 만찬을 경회루에서 여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지자체의 행사도 G20에 활용된다. 정부는 부산국제영화제에 G20 특별상영관을 운영하고 각종 국제 문화예술행사를 통해 G20 정상회의를 홍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G20 정상회의로 한국을 알릴 수 있는 기회도 만들고 있다. 정부는 G20에 앞서 한국경제 투자설명회와 투자박람회 개회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