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외국계기업 10곳중 7곳 "하반기에 투자계획 없다"

상의, 845개사 조사…"불투명한 투자환경 탓"

국내에서 활동 중인 외국계 기업 10곳 가운데 7곳은 “하반기에 한국에 투자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10일 외국계 기업 845개사를 대상으로 한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31.1%만 올 하반기에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외국계 기업이 이처럼 기업활동의 핵심인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불투명한 국내외 투자환경이 결정적인 원인이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외국계 기업들의 58.9%는 “하반기 국내외 투자환경이 더 열악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열악한 투자환경에 대해서도 34.5%는 ‘환율 및 금리불안 지속’을, 31.6%는 ‘국내 경기둔화’를 꼽았으며 ‘물가불안 지속’을 이유로 든 곳도 29.9%에 달해 환율ㆍ금리ㆍ물가 등 거시경제 변수의 불안정이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됐다. 투자인센티브 제도, 행정규제 완화 등 투자환경에 대해서도 외국계 기업들은 싱가포르 3.6점(5점 만점), 홍콩 3.51점, 미국 3.46점을 부여한 반면 한국에 대해선 2.89점으로 혹평을 했다. 투자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정책과제로 ‘인허가 행정규제 완화(28.4%)’, ‘조세감면 확대(27.3%)’순이었으며 ‘정책일관성 유지(19.5%)’, ‘물류인프라 개선(10.4%)’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대내외적 경제상황 악화가 외국계 기업이 투자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근본 요인이지만 우리나라의 투자환경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행정규제 완화와 조세감면 등 과감한 개선 작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제 투자환경에 대해서도 ‘열악해질 것’이라는 응답이 56.7%로 ‘좋아질 것(9.4%)’의 6배에 달했다. 국제 투자환경 악화 이유에 대해서는 3분의2가 ‘유가 및 원자재가 급등 지속(66.4%)’을 꼽았다. ‘국제 금융시장 불안정 지속’이라는 응답은 23.9%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