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무늬만 중소유통 물류센터

홍보 부족으로 동네 슈퍼 외면… 개장 두 달 지나도 이용률 저조

'싼 가격, 빠른 배송'을 내걸고 동네 슈퍼마켓의 유통 비용을 줄여주기 위해 서울시가 만든 중소유통 물류센터가 정작 골목 상권으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2월7일 개장식을 한 서울 양재동 중소유통 물류센터의 4월 첫째주 이용 등록 점포 수는 321곳, 실제 주문을 한 점포는 190곳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류센터의 처리 능력(700개 점포)에 한참 못 미치는 것이다. 센터 관계자는 "예상보다 동네 슈퍼에 인기가 없다"며 "서서히 이용 점포 수가 늘고 있는데 이 추세라면 내년 2월은 돼야 간신히 적자를 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센터는 유통과정을 기존 5단계(공장→영업본부→영업소→물류센터→슈퍼)에서 영업본부와 영업소를 뺀 3단계로 줄여 공급가격을 평균 10%가량 낮추고 주문한 다음날까지 상품을 모두 배송하는 게 특징이다. 동네 슈퍼의 유통ㆍ물류비를 줄이겠다며 서울시가 국비 29억원, 시비 19억원 등 48억원을 투입해 만들고 서울지역수퍼협동조합협회에 위탁운영을 시켰다.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동네 슈퍼들이 물류센터에 대해 잘 모르는 실정이다. 동네 슈퍼들이 여전히 기존 도매상과의 무자료거래(세금계산서 없이 매매)로 물건을 사들이는 방식을 선호하는 점도 물류센터 외면을 부채질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물류센터 홍보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서울시는 위탁운영 업체에 모든 일을 떠넘긴 채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물류센터 관계자는 "물류센터를 이용하는 가게들은 재고도 줄이고 매장 환경도 개선해 매출을 늘릴 수 있다는 점을 알려야 한다"며 "두 명의 영업직원이 슈퍼마다 돌아다니고 있지만 역부족이고 시 차원에서 가게 주인들에게 충분히 알릴 수 있게 집합교육 같은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서울시가 8억원짜리 물류처리 시스템을 센터 개장보다 훨씬 앞서 설치하는 바람에 지난달 유지보수 보증 기간(1년)마저 끝나 센터 개장 이후 발생하는 오류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등 서울시가 물류센터에 예산만 투입해놓고 관리는 뒷전이라는 지적이 계속 나온다.

시는 내년 중 물류센터 1곳을 더 짓는 등 서울 동북ㆍ서북권에도 각각 센터를 만들 계획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서울시가 물류센터만 늘려나갈 게 아니라 이미 만든 곳부터 제대로 운영해야 예산 낭비를 막고 동네상권도 살린다는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