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하반기 글로벌 증시 강세"

서울 세계 연기금 대표회의 "에너지·소비재株 유망"


세계 주요 연기금들은 하반기 세계 증시가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으며 유망 주식투자 대상으로 '에너지'와 '소비재'를 꼽았다. 국민연금공단이 19일 '서울 세계 연기금 대표회의'에 참석한 세계 공적연금 및 기업연금 대표 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연기금들의 44%가 하반기 증시가 강세를 띨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 증시가 비교적 안정적일 것이라는 답도 36.4%로 전반적으로 증시 호전을 전망했다. 연기금들은 주식투자 유망대상으로 에너지(37.9%), 소비재(31%), 철강·화학 등 소재(13.8%), 자동차(6.9%)를 선정했다. 하반기와 내년 경제회복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만한 이슈로는 유럽재정위기(58.8%), 중국 긴축 및 성장둔화(20.6%), 미국의 불확실성(17.7%), 중동 및 북아프리카 사회불안(2.9%) 등을 꼽았다. 연기금들은 앞으로 5년 동안 부동산투자가 유망한 지역으로 신흥국가(46.9%)와 북미(43.8%)를 선정했다. 리스크 관리에 있어 가장 큰 위험으로는 연기금의 59.4%가 시장위험을 택했으며 물가상승(18.8%), 자금조달 위험(12.5%), 장수 위험(6.3%), 유동성 위험(3.1%) 등이 뒤를 이었다. 연기금의 48.5%는 2차 양적완화 종료 후 미국 채권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하반기 가장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채권 분야로는 투자적격 회사채(37%), 고수익 회사채(29.6%), 신흥국 국채(25.9%), 선진국 국채(7.4%) 등의 순이었다. 장기적으로 미국 달러화를 대체할 기축통화를 묻자 48.4%가 미국 달러화의 기축통화 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위안화의 부상을 예상한 연기금도 35.5%나 됐다.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유로화는 6.5%에 불과했다. 2008년 금융위기가 자산배분전략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연기금의 32%가 영향이 없었다고 응답했다. 채권투자 확대(24%), 이머징마켓 비중 확대(20%), 장기투자 목표 변화(12%)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주요 이슈로는 '성과 개선을 위한 전략(50%)' '효과적인 기금지배구조(21.9%)'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9.4%)'를 선정했다. 대체투자 비중에 관해서는 지난해보다 늘렸다는 답변이 50%로 가장 많았고 같다는 답변도 43.8%로 비슷한 비중을 차지해 대체투자가 새로운 투자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줄였다는 응답은 얼마 되지 않았다. 국민연금의 한 관계자는 "미래경제를 주도할 메가트렌드는 세계화, 고령화, 기후변화, 자원확보 경쟁, 산업의 결합 및 지능화"라며 "미래 성장동력이 큰 이머징마켓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다변화하는 등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축해나가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뤄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