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북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 밤새 진통

-행사 시기, 전면 생사확인 놓고 이견…밤 늦게까지 정회, 재개 반복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이 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개최됐다.


지난달 25일 남북 고위급접촉 합의사항(8·25 합의)에 대한 북측의 이행의지를 가늠하는 첫 시험대로 평가되던 이날 접촉은 실무접촉임에도 불구하고 밤 늦은 시간까지 타결을 이루지 못하고 진통을 겪었다.

관련기사



당초 남북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접촉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실무절차 협의 문제로 조금 지연돼 시작 시간이 오전 10시 50분로 늦춰졌으며 이날 자정에 임박할 때까지 정회와 재개를 반복했다.

양측은 이산가족 상봉 시기와 전면적인 이산가족 생사 확인 등을 놓고 팽팽한 입장 차이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 정부는 노동당 창건 70주년(10월 10일) 전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을 우려해 다음 달 10일 이전에 상봉 행사를 개최하자는 입장인 반면, 북측은 노동당 창건 행사 준비를 이유로 다음 달 10일 이후에 상봉 행사를 하자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측은 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8월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제안한 전면적인 이산가족 생사 확인을 요구했지만 북측에서는 행정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산가족 상봉 규모는 작년 2월 상봉 때와 유사하게 남측 100명, 북측 100명으로, 또 상봉 장소는 북측이 희망하는 대로 금강산 면회소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실무접촉의 양측 수석대표로는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통일부 통일정책협력관)과 박용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이 나섰다. 이 실행위원은 이날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회담 장소인 판문점으로 출발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모든 분의 기대와 염원에 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접촉에서는 ▲이산가족 서신 교환 및 화상 상봉 ▲이산가족 고향방문 ▲상봉 행사 정례화 등 문제 등도 다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