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홍준표 '사무총장 김정권' 강행

유승민·원희룡 "인정할 수 없다"… 한나라 파열음 갈수록 커져<br>당직인선 의결 처리 전례 없어 "당 쪼개지는것 아니냐" 관측도

홍준표(왼쪽) 한나라당 대표가 12일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 주재를 준비하는 가운데 유승민 최고위원이 굳은 표정으로 그의 뒤를 지나 입장하고 있다. /류호진기자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12일 결국 김정권 의원의 사무총장 임명을 강행 처리했다. 이 과정에서 유승민∙원희룡 최고위원이 사무총장 인선에 반대하며 의결 직전 회의장을 빠져나오는 소동을 겪기도 했다. 유∙원 최고위원이 김 의원의 임명을 강력히 반대하는데다 당직인선을 의결 처리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이후에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홍준표호가 출범한 지 한 주밖에 안 된 한나라당은 벌써부터 당 자체가 쪼개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을 정도로 강한 파열음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홍 대표는 사무총장으로 김 의원을, 유∙원 최고위원은 캠프 인사 반대를 각각 주장하며 갈등을 쳇바퀴 돌듯 반복했다. 이 과정에서 "왜 당당하게 하지 못하느냐(유승민)", "당당하게 하고 있지 않느냐(홍준표)"는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정오께 나경원∙남경필 최고위원과 황우여 원내대표, 이주영 정책위의장이 당직인선안에 합의하고 이에 대해 유∙원 최고위원이 따로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상황이 급진전될 기미를 보였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유∙원 최고위원이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난항을 거듭했다. 새 지도부가 출범 초기부터 당직인선을 두고 극심한 갈등을 겪는 것은 사무총장이라는 자리의 특징 때문이다. 사무총장은 공천과정에서 실무책임자 역할을 담당한다. 홍 대표로서는 당에서 지도력을 잃지 않기 위해, 유 최고위원은 18대 총선에서 친이명박계에 친박근혜계가 '공천학살' 당한 전례를 다시 만들지 않기 위해 양보할 수 없는 입장이다. 홍 대표는 지난 11일 "26명의 당직자 가운데 홍준표 사람은 단 한 명뿐"이라며 김정권 카드를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 반면 유∙원 최고위원은 그 자리만큼은 3선 의원 중에서 계파색이 옅은 인물을 기용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유∙원 최고위원은 홍 대표가 의결 처리하려 하자 결국 회의 도중 자리를 박차고 나온 뒤 기자회견을 통해 홍 대표의 인선안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유 최고위원은 "김 의원을 제1사무부총장에 임명하고 사무총장으로 계파색이 옅은 3선 의원을 임명하자고 대안을 말했는데 끝까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당직인사를 두고 표결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만약 표결해서 강행 발표한다면 정치적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원 최고위원도 "홍준표식 사당화의 첫 단추가 끼워졌다"며 "(홍 대표를) 앞으로 다시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홍 대표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사무총장으로) 친이를 임명하면 친이계의 부활이라 나올 것이고 친박을 임명하면 친박계가 당을 접수했다고 나올 것이다. 당 대표가 사무총장을 지휘 감독하는 데 있어 외부세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인사를 해야 한다고 의견이 모아진 것뿐"이라고 반박했다. 이어서 "당헌을 보면 단일성 집단지도체제이기 때문에 합의를 도출하다 안 되면 의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나∙남 최고위원은 김 의원을 사무총장으로 임명하는 대신 공천권 전횡을 막기 위해 국민경선제를 도입하고 후보자 평가에 대한 공정한 기준을 오는 8월 말까지 만들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직인선은 제1, 2사무부총장과 여의도연구소장, 재외국민위원장을 제외한 23개가 완료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