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생명을 살리자] "자살은 사회공동체 모두의 문제… 민관, 체계적 예방교육등 나서야"

이시형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이사장


[생명을 살리자] "자살은 사회공동체 모두의 문제… 민관, 체계적 예방교육등 나서야" 이시형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이사장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자살은 개인문제가 아닙니다. 사회공동체 모두의 문제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이시형(78ㆍ사진)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이사장은 "갈수록 살기 힘들고 희망이 멀어지니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급증하는 것"이라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생명보험사들이 출연해 만든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2010년까지 17억여원, 올해에는 7억여원을 투입하며 자살예방을 위해 앞장서는 대표적인 단체다. '청소년 자살예방 연극단' '독거노인 말벗 되어주기' 등의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보급했으며 '한강다리 자살예방전화기 설치' 등을 실시하면서 생명존중 인식을 확산하고 자살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밖에도 자살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 기도자에 대한 전국 단위의 연구를 수행하는 등 자살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이사장은 "전연령층의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6ㆍ25전쟁과 보릿고개도 거뜬히 견뎌낸 노인들의 자살도 2년마다 1.5배씩 늘어나고 80세 이상 고령자의 10만명당 자살자 수는 100명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또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20~30대의 사망원인 중 자살이 단연 1위로 이미 30%를 넘어서는 등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우선적으로 각계각층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선진 자살예방시스템을 하루빨리 시행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정부가 거시적으로 그려놓은 자살예방대책의 틈은 민간에서 메워줘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이사장이 이끄는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을 비롯해 한국생명의전화ㆍ한국자살예방협회 등과 같은 민간단체에서 다양한 자살예방대책을 정부에 협조하고 있다. 자살예방협회는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함께 자살예방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우리나라 문화와 정서에 맞는 전문적인 '한국형 자살예방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이 이사장은 "지난 6월 재단과 한국생명의전화ㆍ한국자살예방협회 등 자살예방 민간단체들이 뜻을 모아 국내 처음으로 자살예방 종사자 및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지역사회 자살예방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자살예방 활성화 워크숍'을 여는 등 전국적 민관 협력체계 구축의 시발점을 마련했다"고 소개했다. 이 이사장은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상황 자체가 너무 암담하고 막다른 골목처럼 느껴지더라도 자살보다는 다른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생명을 살리자] 기획연재 전체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