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질硏, 제주도 상창리에서 5,000년전 화산분출 흔적 발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제주도 상창리에서 5,000년 전의 화산분출 흔적을 발견했다고 14일 밝혔다. 한반도 및 제주도 내륙에서 5,000년 전 용암 분출연대를 실제로 알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질연 국토지질연구본부 제4기지질연구실 이진영 박사팀은 제주도 서귀포시 상창리의 현무암층 아래에서 발견한 탄화목(숯)을 방사성탄소연대측정 한 결과 연대가 5,000년 전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상부층의 현무암이 생성된 시기가 최근 5,000년 전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까지 제주도가 화산분출을 했다는 증거가 된다.


이제까지 알려진 제주도 화산활동 흔적은 7,000년 전후에 분출한 것으로 알려진 송악산 화산활동이 가장 최근이었다. 상창리의 현무암층은 3만 5,000년전 주변에 위치한 병악오름의 분출에 의해 형성됐다고 알려져 왔지만, 이번 연구결과로 지금까지 밝혀진 가장 젊은 화산활동의 결과물임이 드러났다.

관련기사



송악산 화산활동은 해안가에서 다량의 화산재를 분출하는 제한된 수성화산활동인 반면에 상창리에서 확인된 화산활동은 용암이 분출해 내륙의 사면을 흘러내린 역동적인 화산활동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구팀은 탄화목을 활용한 탄소연대측정으로 정확도를 높여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지금까지는 퇴적층 상부를 덮고 있는 암석에 대한 연대분석방법을 활용했는데 상대적으로 반감기가 긴 암석연대분석 방법은 약 1만 년 전의 현무암 형성시기를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퇴적층 상부를 덮고 있는 암석에 대한 연대측정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방사성탄소연대 측정방법과 광여기루미네센스(OSL) 연대측정방법을 동시에 활용했고 이러한 교차 검증을 통해 과거 화산활동 추적에 정확성을 높였다.

이진영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제주도의 최근 화산활동을 규명하기 위해 제주도 여러 지역에서 화산암 형성시기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