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진보 진영, 이젠 안철수 고민되네

독자 세력 구축說에 야권 통합 걸림돌 우려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야당과 등 진보진영은 '시민사회 운동가 출신 서울시장'을 탄생시키는 성과를 거뒀지만 한편으론 새로운 고민거리를 떠안게 됐다. 바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관계다. 고민의 시작은 안 원장이 진보 진영과 다른 정치적 방향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안 원장은 '반(反)한나라당' 기조를 보이기는 했어도 진보진영에서 주장해왔던 각종 의제에 동감하는 의사를 표한 적은 없다. 특히 민주당 내부에서는 '불임 정당'이라는 비판까지 받으면서도 박원순 서울시장을 당선시키기 위해 손학규 대표 등을 포함한 핵심 인원들이 총력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공이 안 원장으로 쏠리는 분위기 때문에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해 손 대표는 31일 의원총회에서 "우리가 이룬 것에 대해 스스로 자기폄하해서는 안 된다"며 의원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안 원장에 대한 재야 진보진영의 시각도 곱지 않다. 조국 서울대 법대 교수는 안 원장이 야권과 함께한 경험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바깥 세력'으로 규정한 바 있다. 또 트위터를 통해 "정치판에서는 어느 누구도 '꽃가마'를 태워주지 않는다"며 "(안 원장이) 반한나라, 비(非)진보민주 입장에서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것은 위험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기류는 야권 통합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시민사회세력이 최종 승자가 되면서 '혁신과 통합'이 중심이 된 더 진보적인 방향의 야권 통합에 힘이 실리게 됐다. 하지만 중도보수 성향의 안 원장과 온도차가 더욱 벌어지게 돼 향후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지에 대한 숙제를 풀어야 한다. 이에 따라 안 원장이 독자세력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냐는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안 원장의 '제3 정당'에 일부 한나라당 의원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후문이 돌면서 정치권 전체에 긴장감이 조성되고 있다. 한나라당 당직자는 '제3 정당'에 대해 "(안 원장이) 직접 나서지는 않지만 주변에서 그런 움직임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곧 구체적인 얘기가 나오지 않겠느냐"며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