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孫도 文도 '야권 대통합' 군불 때기

손학규 추진에 문재인 "뭉쳐야 총선 승리" 화답<br>"민노-진보신당 통합도 못했는데…" 회의론도<br>한명숙, 내달 민주 당권 도전도 주요 변수로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진보정당과 시민단체ㆍ제3세력을 포함한 야권대통합을 추진하는 가운데 1일 문재인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가 "민주당이 혁신과 통합의 선두에 서야 한다"고 화답해 야권연대가 탄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문 상임대표는 '민주당의 한계'도 아울러 지적함으로써 향후 야권대통합 작업이 복잡하게 전개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해찬 전 총리와 문성근씨 등 민주당 밖의 친노성향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 혁신과 통합의 문 상임대표는 이날 원혜영 민주당 의원 등이 주도하는 생활정치연구소 주최 국회 간담회에 참석해 "기존 야권에 더해 시민사회까지 가세되는 대통합이 이뤄져야만 비로소 변화를 바라는 국민이 지지할 수 있고 총선ㆍ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복지와 함께 경제민주화를 정권교체 이후 과제로 꼽고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보다 훨씬 대담하고 진보적이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시 말해 어느 하나의 힘만으로 한나라당을 꺾을 수 없는 상황에서 후보단일화 등 선거연합보다는 통합만이 해법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는 손 대표가 "내년 총선에서 선거연합으로는 지역구 배분을 놓고 깨지는 방향이 될 수 있다"면서 밝힌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진보정당, 진보정치세력, 3세력, 시민세력이 함께 통합해야 한다"는 지론과 일맥상통한다. 다만 손 대표와 문 상임대표는 서로 상대방(민주당과 혁신과 통합)이 야권대통합을 주도하는 데 대해 경계감과 회의감을 나타내고 있다. 문제는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등이 선거연합보다 야권대통합에 참여할 수 있느냐이다. 두 사람은 "무상급식과 4대강 사업 반대 등 주요 정책이 같으며 양극화 심화 등으로 대중이 진보화되고 민주당이 진보화되는 상황에서 같이 집권의 길로 나아가자(손 대표)" "민주당도 진보정당도 한계를 인정하고 한 지붕 세 가족, 네 가족으로 통 크게 가야 한다(문 상임대표)"고 강조했다. 하지만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통합마저 무산된 상황에서 대통합이 가능하겠느냐는 회의적 시각이 만만치 않다. 민주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내년 19대 국회 재논의 근거로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 등 독소조항의 재재협상을 앞세우지만 속사정을 보면 야권대통합 차원에서 강경대처를 고수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이 한미 FTA 비준안을 3일 직권상정을 통해 강행 처리할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야5당의 공동대처가 야권대통합으로 이어질지는 두고 볼 문제다. 한편 친노계의 상징격인 한명숙 전 총리가 오는 12월로 예상되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대표 출마를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어 야권통합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전 총리는 지난달 31일 한만호 전 한신건영 대표에게 불법 정치자금 9억여원을 받은 혐의와 관련, 1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은 뒤 12월 민주당 전당대회 출마를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민주당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출마 여부에 대해 "딱히 결정한 바도 없다"며 말을 흐렸으나 측근인 백원우 의원은 "자신에게 주어진 (야권통합과 총선ㆍ대선 승리의) 책무를 피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출마에 무게를 뒀다. 그가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제치고 대표에 당선되면 야권통합에도 좀 더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게 친노 측의 분석이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의총에서 "참기 힘든 고통 속에 있으면서도 민주당이 등 뒤에서 든든히 지켜줬기에 견딜 수 있었다"며 "검찰개혁에는 제가 여러분과 함께 중심에 서고 싶다"고 말해 대표출마를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