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대통령·與 지도부 청와대 회동

당·청관계 재정립 등 논의··· 與, 부동산 등 일부 정책기조 수정 요구도

노무현 대통령과 김근태 의장을 비롯한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29일 한 자리에 모였다. 5ㆍ31지방선거 참패 후 공식적인 첫 상견례이자 4개월 여만의 당ㆍ청간 회동이란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우선 이날 만남에서는 5ㆍ31지방선거 참패 원인과 당ㆍ청관계 재정립, 부동산ㆍ세금 등 참여정부 주요 정책 기조 등에 대한 폭 넓은 얘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당과 청와대 모두 겉으로는 “특별한 의제 없이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은 “대통령은 주로 당의 의견을 청취했다”고 했고 우상호 우리당 대변인은 “일부에서 제기하는 것처럼 ‘계급장 떼고’ 막말하는 자리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정면 충돌은 아니더라도 일부 정책기조에 대한 수정 요구가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우 대변인은 이에 대해 “부동산ㆍ세제 조정에 있어 전체적인 밑그림을 논의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강봉균 정책위의장 측은 “부동산 정책 조정이 필요하다는 당내 의견을 전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 의장의 발언 수위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노 대통령과 얼굴을 붉힐 개연성도 있다. 김 의장은 최근 “대북송금 특검과 대연정 제안이 호남 민심이 돌아선 이유”라며 노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기도 했고 “미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체결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청와대와 달리 ‘신중론’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는 “대통령은 역사에 업적을 남기겠다고 하고, 당은 대선과 총선을 고민할 수밖에 없어 서로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대통령과 당 의장이란 입지에 따라 근본적인 시각차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김 의장측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금은 대통령에게 고개를 숙이기보다 당의 입장을 가감 없이 전달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당ㆍ청관계 복원의 시발점으로 작용할 전망도 제기된다. 김 의장 체제가 들어선 후 보름여 동안 각종 현안에 대한 이견을 확인하고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데다 ‘비상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당과 후반기에 들어선 참여정부에‘대립’보다는 ‘단합’이 서로에게 절실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