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차 勞政 정면충돌 불가피

노조 "총파업 강행" 정부 "초기부터 단호 대처"

정부가 금속노조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정치파업을 불법으로 규정, 엄단 의지를 밝힌 가운데 금속노조 산하 최대 사업장인 현대차 지부가 파업강행을 위한 본격적인 수순 밟기에 나서 노정간 정면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는 21일 오후 임시대의원대회를 개최, 한미 FTA 반대 총파업 강행의사를 재확인했다. 이날 현대차 지부 대의원대회에서 일부 대의원들은 “파업반대 여론이 높은데다 정부도 엄단 의지를 밝힌 시점에서 파업을 강행하는 것은 무리”라는 의견을 제기했으나 집행부 측은 “정면돌파가 불가피하다”며 파업강행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는 이에 따라 조합원들을 상대로 한 출근 홍보전을 강화하고 현장 간담회를 갖는 등 총파업을 위한 수순 밟기에 착수했다. 현대차 지부는 울산공장에서 노조 집행부와 대의원ㆍ소위원 등 500~7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한미 FTA 반대파업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하는 출근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이상욱 현대차 지부장을 포함한 노조 집행부 70여명은 각 사업부별로 조합원들과 도시락 간담회를 갖는 등 다음주부터 예정된 파업 동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온 힘을 쏟고 있다. 이와 함께 민주노동당을 포함한 울산 지역 17개 시민ㆍ사회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한미 FTA 반대 총파업은 정당하다”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현대차 노조 파업지지에 나서 점차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오전 이상수 노동부 장관, 김성호 법무부 장관, 김영주 산업자원부 장관 등 3부 장관 공동 명의로 담화문을 발표하고 “민주노총은 총파업 계획을 즉시 철회하고 조합원들도 정당성 없는 이번 파업에 참여하지 않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는 또 “불법행위에 대해 더 이상의 관용은 없으며 파업을 강행할 경우 노조 집행부는 물론 불법파업을 주도하는 세력에 대해서도 ‘무관용 원칙’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이 반드시 따르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담화문 발표 후 “과거에는 파업이 계속되는 것을 지켜보면서 가급적 공권력 투입을 자제했지만 이번 파업에는 초기부터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