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기차 배터리 방식' 의견 엇갈려

정부 "교체형이 적합" 업계·학계 "일체형으로"<br>방식따라 인프라등 달라져<br>차량개발 다시해야 할지도


정부와 자동차 업계가 지난 9일 정부가 발표한 그린카 로드맵의 전기차 배터리 방식을 놓고 적잖은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충전 대신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형 배터리 쪽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반면 업계 및 학계에서는 그동안 개발해온 일체형 방식의 배터리가 타당하다는 주장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업계ㆍ학계가 전기차 개발의 핵심인 배터리 방식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특히 교체형이냐 일체형이냐에 따라 충전 방식과 시간, 관련 인프라가 달라지기 때문에 배터리 방식 여하에 따라 차량 개발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우선 교체형 배터리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를 장착할 경우 전기차 구매를 촉진해 조기에 확대 보급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즉 배터리를 교체해주는 교환소만 구축되면 소비자들의 편의성이 증대돼 전기차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계산이다. 현재 배터리 교체형의 경우 르노-닛산과 미국의 베터플레이스라는 업체가 손을 잡고 이스라엘 등에서 시범 실시하고 있다. 베터플레이스가 개발한 '퀵드롭' 방식은 정해진 배터리 교환소 내부에 차를 정차시키면 로봇이 다 쓴 배터리를 빼내고 새로운 배터리를 장착시키는 형태로 소요되는 시간이 3분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전기차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해온 배터리 가격과 7시간이 넘는 충전시간 등의 문제점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9일 청와대에서 열린 그린카 전략회의에서 오는 2015년까지 국내 소형차 시장의 10%를 전기차로 대체하겠다는 공언을 한 정부로서는 구매 촉진 및 우선 보급이 먼저라는 입장이다. 반면 업계와 학계는 일체형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자동차가 복잡한 기계장치들의 결정체라는 점에서 볼트를 쉽게 탈부착할 경우 차량 내구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배터리마다 연식이 다르기 때문에 신차를 구입한 소비자가 충전소에서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헌 배터리로의 교환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더욱이 배터리 교환소 하나를 세우는 데도 10억원이 들어가는 만큼 조기 보급에만 연연하는 것은 성급한 행태라고 비판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교체형을 선택할 경우 그간 일체형 배터리를 근간으로 차를 개발해왔기 때문에 모든 것을 원점으로 돌려야 한다"며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는 전기차 비즈니스의 일환일 뿐 주체가 돼서는 곤란하다"고 털어놓았다. 한편 정부와 업계ㆍ학계 간 갈등이 계속되자 정부 측은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개발에 대해 개발 타당성과 경제성 분석을 2011년 상반기까지 완료하고 경제성이 인정될 경우 2012년부터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