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中금리인상 우리 경제 영향은… "금리인상 압박도 거세질 듯"

中경기 둔화땐 수출의존도커타격 예상<br>위안화 절상되면 가격 경쟁력은 높아져


중국경기 둔화시 수출 타격 예상되지만 위안화 절상 수출기업 가격경쟁력 높여 중국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빼든 금리인상의 칼날이 우리 경제의 최대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 증시도, 국제유가도, 금값도 중국의 금리인상에 움츠린 모습이다. 중국의 금리인상은 3개월째 동결된 우리나라에 기준금리 인상의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10월 금융통화위원회가 환율을 통화정책 결정의 핵심변수로 지목한 만큼 중국의 금리인상 이후 달러화 가치가 반등할 경우에는 한국은행도 더 이상 금리인상을 늦출 명분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원화가치 상승을 우려하고 있는 우리에게 중국의 금리인상은 부담스러운 요인이 될 것이며 금리인상의 압박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출을 비롯한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당장은 중립적이다. 중국의 금리인상이 중국 경제의 성장엔진의 속도 감소로 이어져 글로벌 경제회복의 둔화로 이어진다면 직접적인 타격을 입겠지만 추가 금리인상과 위안화 절상이 곧바로 나타나지 않는 한 중국 경제의 연착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리인상 압박 거세질 듯=중국의 금리인상은 우리 금리에도 인상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금리인상이 위안화 절상으로 이어지며 환율갈등의 불확실성을 완화한다면 한국은행으로서도 금리인상을 더 이상 미룰 명분은 딱히 없기 때문이다. 여기다 국내 물가상승률이 3%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다가 자산거품에 대한 경고 시그널도 나오고 있어 중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에 금리인상 가능성을 높이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학균 대우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이번 중국의 금리인상은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정치적 성격이 강하다"며 "환율전쟁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뤄질 경우 12월부터 한국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금리인상이 자칫 중국 경제 둔화와 함께 우리 경제를 급격하게 둔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의 금리인상이 중국의 경기 둔화로 이어지고 글로벌 경제회복 지연으로 연결될 수 있어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논리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환율과 금리가 동시에 오를 경우 긴축효과가 더 크다"며 "물가가 최근 많이 올랐다는 의견이 있지만 수요측면에 의한 물가압력이 아닌 공급측면의 물가압력이고, 과열이라고 보기 힘든 상황이어서 신중히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출 타격 입을까=기습적인 중국의 금리인상은 내부적으로는 중국 내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거품과 인플레이션 기대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대외적으로는 사방이 적인 환율전쟁에서 통화정책을 통해 어느 정도의 위안화 절상은 용인하겠다는 유화책으로 보인다. 내치와 외치를 아우른 정치적인 계산이 깔려 있는 통화정책인 셈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가 주목하는 것은 내치 쪽이다. 인플레이션 차단을 위한 금리인상이 과열된 중국의 경기를 식힌다면 글로벌 경제의 허파인 중국의 성장엔진도 속도조절에 들어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교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20.5%로 20%를 넘어선 데 이어 올해 들어 8월까지는 21.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대중국 수출이 전체 수출의 25.1%를 차지할 정도로 중국은 우리 경제에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추가적인 금리인상으로 이어져 중국 경제가 연착륙에 실패할 경우에는 중국의 성장률이 낮아져 세계 경제의 회복 탄력이 떨어지고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위축은 불가피하다. 황인성 삼성경제연구소 상무는 "금리인상으로 10%가 넘는 중국 경제 성장세가 꺾이면 대중 수출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의 금리인상이 위안화 절상으로 이어지며 일부 우리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지적한다. 김영용 한국경제연구원장은 "현재 국내 환율 절상이 중국보다 큰데 이 격차가 다소 줄어드는 효과로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