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용산, 지난해 땅값 상승률 1위

11.73% 올라… '뚝섬 호재' 성동구 10.5%로 뒤이어


국제업무지구가 들어서는 서울 용산이 지난해 한해 전국에서 가장 땅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뚝섬 상업지구의 호재가 있는 성동구가 차지했다. 30일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2007년 12월 토지거래량 및 지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2007년 땅값 상승률은 3.88%로 전년보다 1.73%포인트 줄어 안정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서울(5.88%), 인천(4.85%), 경기(4.22%) 등 수도권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수도권 지역 중에서도 개발 호재가 있는 곳의 상승률이 높았는데 용산역세권 개발, 용산민족공원 조성, 한남 뉴타운 등 호재가 겹겹이 쌓여 있는 용산구는 지난해 11.73%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뚝섬 상업용지 개발이 진행 중인 성동구도 10.50% 올랐다. 서울에서는 광진구 6.28%, 동대문구 6.23%, 성북구 6.13%, 종로구 5.83% 등 주로 강북 지역에 있는 지역들이 전국 상위권을 형성했다. 반면 강남구 (5.44%), 서초구(5.18%), 송파구(5.67%), 강동구(5.07%) 등 강남권은 서울 평균을 밑도는 등 안정세를 유지했다. 수도권에서도 개발 호재 지역의 땅값 상승이 높았다. 경원선 복선전철과 신도시 개발이 추진 중인 양주시가 5.84%로 가장 높았고 뉴타운과 미군부대 이전 호재가 있는 의정부가 5.62%로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지난해 땅값 상승이 눈에 띄는 지역은 인천 중구(6.99%), 인천 서구(5.97%), 부산 강서구(5.20%) 등으로 이들 지역은 택지 개발이 예정돼 있거나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들이다. 토지 거래량은 전년 대비 12% 이상 감소해 토지시장도 주택시장과 마찬가지로 거래가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2월 토지거래량은 22만8,680필지, 2억3,043만㎡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필지 수는 38.7%, 면적은 51.1% 급감했다. 지난해 연간 거래량은 249만64필지, 25억3,351만㎡로 전년 대비 필지 수는 12.5%, 면적은 12.4% 각각 줄어 토지 거래가 다소 침체된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