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뱅크런 위험 막는 길은 신뢰회복

부산저축은행 사태에 이어 불법대출 혐의를 받고 있는 프라임저축은행에 대한 검찰 수사가 이뤄지면서 이틀째 대규모 예금인출 사태가 빚어지는 등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올 들어서만 7개 저축은행이 무더기 영업정지조치를 당한 상황에서 또 비리가 불거지자 저축은행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불안감이 다시 증폭되고 있다. 도대체 끝이 어디냐는 불안감을 갖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심각한 것은 저축은행에 대한 이 같은 불신과 불안감은 자칫 뱅크런 사태로 이어져 멀쩡한 저축은행들조차 위기에 몰리거나 금융불안 요인이 된다는 점이다. 동일인 대출한도 위반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프라임저축은행의 경우 총수신 규모가 1조3,000억원대에 달하고 확보하고 있는 유동성 자금은 3,000억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고객들의 인출사태가 이어지면서 저축은행중앙회에 긴급 유동성을 요청하는 등 뱅크런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태가 이처럼 악화되자 정부 차원에서도 필요한 경우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럼에도 고객들의 불안감은 진정되지 않고 있어 뱅크런 사태가 다른 저축은행으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사상 최대 최악의 금융사고인 부산저축은행 사태를 계기로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가 실추되면서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 동안 예금인출 규모만도 12조원에 달하고 있다. 부실화의 원인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규모도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문제가 계속 불거지고 사태가 악화될 경우 자칫 저축은행 전체가 뱅크런이라는 최악의 사태에 직면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7개 저축은행 매각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부실 PF채권 매입과 만기연장 등을 통해 저축은행 부실 문제를 신속히 정리해야 한다. 아울러 98개 저축은행 PF대출 사업장에 대해 진행 중인 전수조사와 저축은행 전반에 걸친 건전성 확인작업 등을 통해 부실 가능성이 있는 곳은 경영개선협약을 맺도록 하는 등 강력한 선제적 대응조치에 나서야 한다.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저축은행의 이미지를 새롭게 하고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은 뱅크런과 같은 최악의 사태를 막는 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