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권 자금 MMF 쏠림 현상 '심화'

6개 시중銀 한달새 1조원 가까이 증가…금리 인하 정기예금 잔액 감소

은행권 자금이 정기예금 금리 인하 등으로 단기투자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에 급격하게 몰리고 있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우리.신한.하나.조흥.외환 등 6개 주요 시중은행의 6월말 현재 MMF잔액은 11조8천349억원으로 전월 10조8천836억원에 비해 9천513억원(8.7%)이 증가했다. 6개 은행의 MMF 잔액은 4월말 당시 10조404억원에 불과했으나 두달 사이에 1조7천945억원(17.9%)이나 증가하며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MMF는 투신사가 고객의 돈을 모아 만기 1년 미만의 기업어음(CP) 등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해서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상품으로, 은행들은 투신사와 제휴해 일반 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은행별 MMF 잔액 추이를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5월말 9천508억원에서 6월말에는1조3천663억원으로 43.7%(4천155억원)나 급증했다. 국민은행도 5월말 6조1천25억원에서 6월말 6조3천352억원으로 2천328억원(3.8%),신한은행은 1조4천878억원에서 1조6천554억원으로 1천676억원(11.3%)이 각각 늘었다. 이밖에 우리은행은 3천143억원에서 3천473억원으로 330억원(10.5%), 조흥은행은1조4천332억원에서 1조5천165억원으로 833억원(5.8%), 외환은행은 5천950억원에서 6천142억원으로 192억원(3.2%)이 증가했다. 하지만 은행의 대표적 상품인 정기예금 잔액은 같은 기간 감소세를 보였다. 6개 은행의 6월말 현재 정기예금 잔액은 167조8천585억원으로 5월말 168조4천664억원에 비해 6천79억원(0.4%)이 줄었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4천104억원), 신한은행(3천145억원), 하나은행(3천571억원), 외환은행(2천734억원)의 정기예금 잔액이 줄어든 반면 국민은행(4천950억원)과 조흥은행(2천525억원)은 증가세를 보였다. 은행 관계자는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시대로 접어든데다 부동산과 주식시장 마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목돈을 굴리는 고객들이 단기간에 수익을 낼 수 있는 MMF로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현영복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