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 두 얼굴의 중국 시장

요즘 중국 언론에는 ‘민공황(民工荒)’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민공황은 일손 부족현상을 지칭하는 신조어로 광둥(廣東)과 푸젠(福建), 저장(浙江) 등에서 이 같은 현상이 심각하고 광저우(廣州)와 우한(武漢)에서는 부족한 노동력이 10만여명에 이른다는 얘기가 들린다. 또한 춘제(春節ㆍ설날) 연휴를 맞아 고향에 돌아갔던 인력이 돌아오지 않아 민공황이 더 심각해져 문을 닫게 되는 공장이 무더기로 생겨날 것이라는 관측도 무성하다. 이처럼 민공황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은 기업들의 임금ㆍ복지수준이 하향평준화됐던 과거와 달리 중국경제의 고도성장이 계속되고 노동관련 법규들이 대대적으로 정비되면서 경쟁력이 높고 준법경영을 해 임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들의 구분이 생겨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돈을 벌기 위해 도시로 온 노동자들이 보다 나은 복지혜택과 높은 임금조건을 따라 직장을 옮기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 됐다. 하지만 민공황이 만연하고 있는 중국 노동시장의 이면에는 ‘취업난’이라고 하는 상반된 얼굴도 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최신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노동시장은 2006년 현재 2,500만개의 일자리가 부족했는데 올해 말까지 추가로 만들어낼 수 있는 일자리는 1,100만개에 그칠 전망이다. 아직도 중국 노동시장은 공급이 수요에 비해 무려 1,400만명이나 더 많은 상황이고 취업난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그런데도 요즘 들어 중국에서 민공황이 유독 크게 부각되고 있는 것은 중국의 전체 기업 가운데 압도적으로 수가 많은 저임금의 중소기업들이 이 문제로 어려움이 커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지만 그래도 구조적인 취업난이 중국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엄연하다. 중국시장은 이처럼 상충되는 ‘두 얼굴’이 공존하는 곳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중국진출 기업 위기론’도 상충된 중국의 현실을 전제로 이해해야 한다. 중국 정부가 노동계약법과 기업소득세법을 도입하고 가공무역에 대한 혜택을 폐지하면서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문을 닫을 처지에 몰린 우리 기업들이 늘어난 것도 사실이지만 세계 최대시장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중국 내수시장이 우리 기업에 더 큰 기회와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는 사실 또한 분명하다. 중국의 기업환경은 이처럼 달라졌고 우리에게 위기와 희망을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당장은 위기론에 가려 잘 보이지 않겠지만 아직까지는 중국시장에서 위기보다 희망이 더 커 보인다. 이 시점에서 위기가 희망보다 더 커지도록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 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