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인한 위기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각국의 각료들이 발벗고 나섰다. 지난 2010년 6월 몽골 총리와 각부 장관들은 몽골 사막화의 대표 지역인 고비사막 한가운데서 사막화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각료회의를 열었다. 2009년 6월에는 몰디브 대통령이 인도양 6m 해저에서 잠수장비로 무장한 채 내각회의를 개최하면서 지구온난화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고 12월에는 지구의 지붕인 해발 5,250m 에베레스트산 베이스캠프에서 네팔 각료들이 지구온난화로 만년설이 녹아내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몽골 지역 사막화 피해 심각 지구는 지난 100년간 평균기온이 0.74℃ 상승하면서 해수면이 높아지고 북극 빙하면적도 1978년 이후 10년마다 2.4%씩 감소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구면적의 약 25%가 건조 혹은 반건조 사막 지역으로 분류되고 세계 인구의 20%가 사막화에 의해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와 더불어 사막화로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는 생존의 위협까지 받고 있다. 실제 1990년대 들어 전세계 사막화 면적이 연간 평균 3,572㎢로 20년 전(1,622㎢)에 비해 2배로 증가했다. 사막화의 피해가 가장 심각한 곳 중 하나가 몽골이다. 한반도 전체 면적의 7배에 이르는 몽골은 2007년 기준으로 국토면적의 77%가 사막화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오는 2080년이 되면 국토면적의 약 90%가 사막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도 있다. 심각한 사막화 문제 해결을 위해 세계 190여 국가가 참가하는 유엔사막화방지협약 당사국총회(UNCCD COP10)가 10일 아시아 최초로 경남 창원에서 열린다. 사막화는 한 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지구 전체의 재앙이 될 수 있고 특히 사막화로 인한 황사는 동북아 국가에 피해를 주고 있다. 우리도 연간 5~6조원의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몽골 정부는 사막화 진행을 막기 위해 1996년에 사막화 방지협약(UNCCD)에 가입해 범 정부적 대응책을 마련, 시행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정책이 바로 그린벨트 프로그램이다. 몽골 국토를 횡으로 연결하는 총 연장 3,700㎞의 그린벨트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몽골 정부는 국가예산, 외국 정부의 지원, 시민사회의 참여 등으로 계획하고 있으나 재정적ㆍ기술적 한계로 사업성과는 아직 미약하다. 이번 총회에 13명의 정부 대표단을 구성해 국제적 지원을 호소할 예정이다. 특히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사막화의 직접적 피해를 입고 있는 당사국으로서 효과적이고 이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총회에서 채택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황사 주요 발원지의 하나인 몽골의 사막화 방지에 적극적이다. 나무를 심어 사막화 진행을 억제하고 국제사회에 나무심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확산은 물론 국제사회에 사막화 방지 성공 모델을 제시하고자 2007년도부터 몽골의 룬솜 지역과 고비 지역 두 곳에서 사막화 방지 그린벨트 조림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조림용 묘목 공급을 위한 20㏊ 규모의 양묘장 2개소를 조성했고 약900㏊에 사막화 방지를 위한 방풍림 조성, 조림기술교육센터 설립, 연수생 초청교육 등을 시행하면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8월 몽골에서 개최된 그린벨트 사업 중간평가에서도 몽골 정부 측에서는 각국의 여러 지원 사업 중 가장 모범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추진과 사업규모 확대를 요청했다.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 필요 몽골에서 추진하는 한ㆍ몽 그린벨트 사업은 단순한 나무심기가 아니라 사막화 진행 저지, 농경지 보호를 통한 생태복원을 궁극의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지역 주민의 생활여건과 정주(定住)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터전을 보호하는 사막화 방지 및 황사저감을 위한 성공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총회를 계기로 사막화 방지 사업에 대한 지원과 구체적인 이행 프로그램이 채택되고 몽골에 대한 그린벨트 조림사업에도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