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본격화되는 대기업의 공생발전 전략

중소 협력업체들과의 공생발전을 위한 대기업들의 행보가 빨라지는 가운데 방법도 다양화되고 있어 공생발전을 위한 풍토가 정착되고 있다는 평가를 낳고 있다. 최근 중소기업형 사업에서 손을 떼는 한편 공생발전을 위한 '7대 종합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한 한화그룹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기술 또는 자금지원 등 한두 가지 방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공생발전을 추구함으로써 그룹문화로 정착시키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구본무 LG그룹 회장도 경영진에 "동반성장의 실질적인 변화와 성과가 나타날 때까지 임원들이 직접 챙겨달라"고 강조했다. 형식적인 공생발전이 아니라 실질적 성과가 나타나도록 임원들이 직접 나서라는 주문이다. 공생발전을 위한 이 같은 움직임은 대기업들 스스로 공생의 필요성을 느끼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공생발전의 필요성은 지난 8월 이명박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 간의 간담회에서 본격 제기됐다. 공생발전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의를 달기 어렵다. 부품소재 등을 담당하는 중소 협력업체가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대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글로벌화의 진전에 따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는 우리 경제의 심각한 구조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경제사회의 양극화 완화를 위해서도 공생의 가치와 실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어떻게 하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자율적으로 공생발전 풍토를 정착시켜나가느냐다. 정부의 강요 또는 압력에 마지못해 이뤄지는 공생발전은 지속되기도 어려울 뿐더러 부작용이 크기 때문이다. 한화ㆍLG 등의 사례는 공생발전을 위한 풍토가 자율적으로 정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제 자기 잇속만 챙기는 탐욕적인 자세로는 대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어려운 환경을 맞고 있다. 공생이 생존수단이 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 협력업체가 잘돼야 대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글로벌 시장으로 대기업이 뻗어나가야 협력업체들도 잘된다는 신뢰가 구축돼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