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換시장 직접 개입 눈앞… "日단독이냐…국제공조냐…" 촉각

[일본 대지진] 엔캐리 청산 본격화…엔초강세<br>보험사 보험금 마련 위한 환류에<br> 기업들 피해복구 자금 송환 늘고 투기 세력까지 엔화 강세 부채질<br>"충격 막자" 시장개입 용인 분위기… G7차원 연합전선 구축 가능성도


일본의 원전 재앙 우려가 높아지면서 달러화 대비 엔화가치는 마침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고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지난 11일 대지진 발생 이후 일본 중앙은행은 유례없이 대규모로 금융시장에 엔화를 풀고 있지만 엔화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이제 엔고를 저지하기 위한 일본 금융 당국의 직접적인 시장개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전문가들은 시장개입 없이는 엔고는 당분간 추세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가을 일본은행의 단독 개입 효과가 미미해 이번에는 대재앙을 맞은 일본 지원을 위해 선진7개국(G7) 차원의 공동 개입, 또는 미일 연합 전선 구축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시장에서는 엔 개입을 용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적어도 일본의 단독 개입을 국제시장이 용인해야 한다는 분위기도 형성되고 있다. 패닉의 시발점은 미국 워싱턴. 16일 오후(한국시간 17일 새벽) 미 행정부가 자국 국민들에 대해 후쿠시마(福島) 원전 50마일(80㎞) 외곽으로 철수 권고령을 내린 데 이어 “후쿠시마 원전 4호기의 사용 후 핵연료봉을 보관하는 수조에 물이 남아 있지 않다”는 증언(그리고리 재스코 원자력규제위원장)이 나오면서 엔화는 79엔대에서 76엔대로 폭등했다. 일본의 피해가 커지면 커질수록 일본 보험사들이 보험금 마련을 위해 해외 자산을 처분, 본국으로 환류하는 규모가 늘어나고 피해복귀 등을 위해 기업의 일본 국내 송금도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쓰나미를 제외한 지진 피해만으로도 보험사들이 지급해야 할 보험금은 최대 35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 또 3월은 일본의 회계기준이어서 일본 기업의 국내 송금이 대폭 늘어나는 시기다. 이 같은 요인은 모두 엔화 수요 요인이다. 이와 함께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을 예상한 투기세력이 한발 먼저 움직이면서 엔고를 부채질하고 있다. 일본의 개인이나 소규모 기업 단위 투자자들이 엔고를 두려워해 서둘러 해외자산을 처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일본의 외환거래에서 차지하는 소액투자자의 비중은 30%에 달한다. 노무라증권은 “지진으로 일본경제가 큰 타격을 받더라도 엔화는 약세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며 “리스크 회피 심리가 엔화 흐름을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은 이번 패닉이 본격적인 캐리트레이드 청산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보고 있다. 일본이 보유한 해외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3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엔고에 따라 이 가운데 일부분만 움직여도 글로벌 금융시장이 상당한 충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외환 유동성이 적은 신흥국시장이 요동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예를 들어 호주, 브라질에 투자된 일본자금 규모는 각각 600억달러, 340억달러에 달한다. 데이비드 블룸 HSBC의 외환투자전략가는 “이들 국가의 외환시장이 유동성이 적은 점을 감안할 때 이 같은 금액은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시장의 특성상 한쪽으로 쏠리는 심리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금융 당국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만큼 일본 중앙은행의 시장개입은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17일 요사노 가오루 일본 경제상은 “엔강세 움직임은 투기세력에 따른 것”이라며 “기관투자가들의 엔화 본국 송금이 엔강세를 이끌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투기세력에 따른 시장왜곡을 막는다는 명분하에 일본은행이 시장개입을 준비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