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7개 폐기물 에너지화시설 확충에 "4년내 3兆 2,400억 투자"

환경부가 오는 2012년까지 3조2,400억원(민간투자 포함)을 투자해 57개 폐기물 에너지화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27일 국무회의에서 2012년까지 단순 매립ㆍ소각하거나 바다에 버리고 있는 폐기물의 에너지원 활용률을 31%(2007년 1.8%)로 끌어올리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환경부는 1,218만톤 규모로 추산되는 2012년 가연성ㆍ유기성 폐기물 발생량 중 31%(380만톤)를 에너지화해 하루 30만8,160㎥의 매립가스와 연간 128만G㎈의 소각여열을 회수해 전기 생산 등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500억원 상당의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재원은 국고 9,856억원, 지방비 9,460억원, 민간투자 1조2,844억원, 공기업(수도권매립지관리공단) 248억원 등이다. 이 재원은 가연성 폐기물이나 하수 슬러지를 고형 연료로 만들거나 음식물쓰레기, 폐수, 돼지 분뇨 등을 병합처리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설, 이를 연료로 쓰는 발전시설 등 57개 폐기물 에너지화시설을 확충하는 데 쓰인다. 환경부는 이 같은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협력해 매립ㆍ소각시설에 대한 국고 지원 단계적 중단, 매립부담금 부과, 에너지화시설에 대한 입지 규제 완화,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생산한 전기 판매가격 인상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