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K 경영이념의 기원은 서경(書經)

중국 시장 공략을 주요 사업목표로 설정한 SK그룹의 기업 운영철학이 중국 발전의 사상적 바탕으로 알려진 사자성어와 흡사해 눈길을 끌고 있다. 13일 SK그룹에 따르면 SK 경영의 핵심 키워드인 `따로 또 같이'는 중국의 사자성어인 구동존이(求同存異)와 의미나 활용 측면에서 매우 비슷하다. 따로 또 같이는 SK가 지난해 3월 원주에서 열린 CEO세미나에서 강력한 독립경영속에서 브랜드와 기업문화를 공유하는 기업 경영체계 구축을 표방하면서 선보인 새로운 경영이념이다. 이에 비해 서경(書經)의 `구대동존소이'(求大同存小異)에서 비롯된 구동존이는`같음을 추구하며 서로 다름을 인정한다'는 의미다.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가 중미외교협상 과정에서 사용한 이래로 실리중심의중국외교전략을 상징하는 단어로 인식돼왔다. 따라서 `스스로 생존하고 발전하는 것, 즉 따로 경영을 먼저 잘하고 이를 더 잘수행하기 위해 같이를 추구해야 한다'는 뜻의 따로 또 같이와 구동존이는 일맥상통한다는게 SK그룹의 설명이다. 구동존이 외에도 SK의 경영이념과 맥락을 같이하는 사자성어로 이중구동(異中求同:다름속에서 같음을 추구한다)과 동중구이(同中求異:같음 속에서 다름을 추구한다)를 들 수 있다. 이중구동과 동중구이는 2천300여년전 전국시대 송의 사상가이던 혜시(惠施)와공손룡(公孫龍)이 `같음과 다름'을 구별하는 철학적 논쟁에서 각각 사용했던 사자성어다. 중국의 저명한 철학사 연구가인 펑유란(馮友蘭)은 혜시를 이중구동, 공손룡을동중구이의 철학자로 정의하면서 이들의 사상을 실리를 추구하는 현대 중국사회의 근저에 깔린 사조로 평가하고 있다. SK는 `따로 또 같이' 경영기법이 중국의 고전을 의식하거나 모방해서 만들어 낸것은 아니지만, 오늘날 중국을 대표하는 사자성어와 매우 흡사해 그 가치가 높게 평가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중국내 제 2의 SK그룹을 창업한다는 목표로 중국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경영이념이 중국 발전의 사상적 근간과 유사하다는 점이 사업추진에 고무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그룹 관계자는 "항상 진화해 나가려고 노력하는 자사의 기업문화 및 발전을위해 토론을 즐기는 중국의 문화적 발전과정이 비슷하기 때문에 중국의 고전사상과기업의 경영이념이 맞아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