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식품류값 줄줄이 올라… 공공요금 인상도 가시화

■ 위기 벗어나자 욕구 분출 잇달아-물가<br>서민 생활물가 고공행진 '부담가중'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억눌렸던 가격인상 요인이 경기회복과 함께 나타나며 서민 생활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의 물가안정대책 발표가 무색할 정도다. 더욱이 경기회복의 바람을 타고 공공요금 인상도 예정돼 서민들의 생활물가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 보고서에서도 전체 물가 상승률은 2.7%로 안정세를 되찾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선식품은 전년 동월 대비 8.4%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서민 장바구니를 위협했다. 설 연휴와 폭설ㆍ한파 등의 일시적 요인이 작용했다지만 경기회복과 함께 수요가 늘어나며 식품류 가격을 밀어올리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눈치만 보고 있던 가공식품 가격도 올 들어 연이어 인상되며 서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제당업체들은 설탕 값 인상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설탕 가격 인상은 식품ㆍ음료ㆍ제빵 등 각종 가공식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게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제과ㆍ빙과류 값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제과업체들은 3월부터 대표 제품의 가격을 10~20% 정도 인상했다. 피자ㆍ치킨 등 외식업체 역시 원가가 인상됐음에도 불구하고 불황 때문에 올리지 못했던 가격을 순차적으로 상향하고 있다. 식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는 불황에다 정부의 암묵적인 통제로 가격에 손대지 못했지만 올해는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는 만큼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며 "원재료비 상승을 반영해 단계적으로 가격을 올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내수용 철강 가격도 조만간 인상되며 후방산업들의 제품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석도원판과 무방향성 전기강판 내수가격을 각각 6%, 10% 올린 데 이어 조만간 열연ㆍ냉연 등 주요 제품의 내수가격도 인상할 예정이다. 정부가 통제하는 공공요금 인상도 가시화되고 있다. 오는 6월 지방선거 전까지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들도 최대한 인상시점을 늦추겠지만 지방선거 이후에는 공공서비스 요금 인상이 봇물을 이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6월 지방선거 이후 7월로 예정된 가스요금 원가연동제는 미수금 회수가 완료될 때까지 가격인상 요인만 반영하고 추가 마진을 붙이는 가격인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최대한 억제하고 있는 지자체의 교통 등 공공서비스 요금도 지방선거 이후에는 줄줄이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