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손발 안맞는 청와대 경제-공보수석실

손발 안맞는 청와대 경제-공보수석실 감자문책 "처벌쪽으로만 몰고간다" 李경제수석 朴공보에 항의 김대중 대통령이 지난 19일 국무회의에서 6개 은행 완전감자에 따른 책임론을 언급한 것과 관련, 청와대 수석비서진 간에 상당히 불편한 기류가 형성됐다는 후문이다. 이기호 경제수석은 김 대통령의 발언 내용을 책임자 처벌쪽으로 몰고 간 박준영 공보수석에게 강력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수석은 앞으로 공보수석실이 경제관련 민감한 사안에 대해 브리핑을 할 경우 사전에 경제수석실과 협의토록 주문했다. 경제수석실은 김 대통령의 발언이후 책임자 문책 여론이 증폭되자 진념 재경부장관 및 이근영금감위원장과 21일 회동, 간급기자간담회를 통해 서둘러 진화키로 결정하고, 이날 아침 김 대통령의 재가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변인도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부실은행 감자과 관련, 언론이 지나치게 책임자 처벌쪽으로 가고있다"며 "대통령 말씀 그 자체로 해석해 달라"고 주문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지난 19일 브리핑한 김 대통령 발언내용을 다시 상기시켰다. "최근 일부 금융기관들의 합병으로 해당 은행의 주식이 감자됐다. 정부의 결정에 대해 금융전문가들은 원칙적으로 찬성하고있다. 그러나 정부가 감자는 없다고 해놓고 아무말없이 감자를 했다는 지적이 있고 금모으기 심정으로 은행을 살리기위해 2차 투자를 한 책임을 져야할 사람들이 책임을 지지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재경부장관은 이런 문제점을 감안해 대책을 강구하기 바란다." 박 대변인은 이어 "은행 감자와 관련된 정부 부처나 해당은행의 임직원 중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이 같은 김 대통령의 발언은 책임자 문책보다는 선의의 소액투자자들을 걱정하는 쪽에 비중이 실려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국정최고책임자나 고위공직자는 금융시장 등에 영향을 주는 민간한 사안에 대해서는 최대한 말을 아끼고 불가피할 경우 분명하게 표현을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황인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