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부터 민주노총 산하 공공연맹이 산별노조 전환을 위한 총회를 갖는 등 노동계의 산별노조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산별노조는 사업장 단위로 설립되는 기업별 노조와 달리 동일한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를 하나로 묶어 사업주들을 상대로 공동교섭을 벌이는 조직 형태이다.
9일 노동계에 따르면 공공연맹은 23일부터 11월18일까지 소속 노조별로 산별전환을 위한 총회를 개최한 뒤 11월 말께 기업별 노조에서 산별노조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노조 등이 포함된 금속연맹이 다음달 중 산별노조로 출범할 예정이어서 공공연맹이 산별노조 전환에 가세하면 노동계의 산별노조 구축이 급물살을 타게 될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전체 조합원 77만9,000명 가운데 53만여명이 산별노조에 가입, 68%의 산별노조 전환율을 보이고 있으며 연말까지 90%대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한국노총도 전환율이 현재 16.2%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연말에는 50%대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노총의 경우 전체 조합원 78만여명 가운데 12만6,000명이 산별노조에 가입한 상태이며 금속노련(11만6,000명)과 택시노련(9만1,000명), 자동차노련(7만9,000명) 등이 연말까지 산별노조로 전환할 예정이다.
하지만 경영계가 이중교섭 등을 이유로 산별노조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어 산별노조로 전환하더라도 산별교섭(공동교섭)이 실제로 이뤄지기에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경총의 한 관계자는 “노동계가 주장하는 산별교섭이 중앙에서 표준협약을 체결한 뒤 지부나 지회별로 보충교섭을 벌이는 방안으로 교섭비용과 시간이 늘어 현행 기업별 노조보다 부담이 더 많아진다”고 말했다.
노동계가 산별노조 전환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복수노조와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가 노사정 합의로 3년간 시행 유예된 것도 산별교섭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