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출범 1주년] 국제신도시 개발등 외자유치 올인

명지지구 외국인병원·학교 들어선 첨단도시로<br>내년 부산신항 일부개장 다국적기업 유치 주력<br>배후 물류부지 확대·신공항 조기 건설이 관건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출범 1주년] 국제신도시 개발등 외자유치 올인 명지지구 외국인병원·학교 들어선 첨단도시로내년 부산신항 일부개장 다국적기업 유치 주력배후 물류부지 확대·신공항 조기 건설이 관건 • 르노삼성·英 소노박스와 투자 MOU • "5년뒤 대역사 윤곽 세계이목 집중될것" 부산 강서구와 경남 진해시 일대에 동북아 해양물류, 국제비지니스 허브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설립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오는 12일 개청 1주년을 맞는다. 오는 2020년까지 7조6,371억원이 투입돼 3,171만평에 인구 23만5,000명을 수용할 경제자유구역은 부산과 경남지역의 새로운 성장 거점이 될 뿐 아니라 한국의 경제지도를 바꾸어 놓을 대역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1-1단계 개발사업(2003~2006년)인 부산지방과학산업단지와 신호지방산업단지 조성 공사가 지난해 마무리된 데 이어 내년초 부산신항이 일부 개장되면서 외자유치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는 6월까지 명지지구의 국제신도시 마스트플랜을 수립, 외자유치에 나설 계획이어서 해외 개발업자의 참여와 외국인 병원과 학교 설립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그러나 지역 특성을 살린 경제자유구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해양물류 배후부지를 확대하고 원활한 국제비즈니스 업무수행을 위해 인근에 신국제공항을 조기에 건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올해 주요 개발사업=올해는 예산규모가 지난해보다 78.3% 증가한 321억7,600만원으로 1-1단계(2003~2006년) 사업에 이어 1-2단계(2010년까지) 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우선 141만7,000평에 인구 1만6.000명 수용을 목표로 하는 명지지구 조성사업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 지구는 지난해 12월 그린벨트가 해제된 데 이어 올해 사업자 지정 등을 거쳐 곧바로 개발에 착수한다. 특히 지구내 국제신도시 개발을 위한 용역이 6월까지 마무리됨에 따라 본격적인 해외 IR에 들어간다. 국제신도시는 국제업무를 수행하고 컨벤션과 주거 기능까지 담당하는 미래형 혁신도시로 규모와 위치,선정 등 오는 6월까지 구체적인 마스트플랜을 마련한다. 또한 교육ㆍ의료기관 유치 관련 용역도 오는 4월 발주해 외국인 병원과 학교 유치를 위한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여가ㆍ휴양시설,상업시설이 들어설 웅동지구(1-2단계 40만1,000평,2단계 155만5,000평)에 대해서는 지난해 스노박스사와의 2억달러 투자양해 체결에 따른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하고 F1 자동차경기장 건설을 위한 개발계획 변경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밖에 화전지구(73만2000평,인구 2만명)는 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 승인 신청에 따른 편입 토지 및 건물보상을 협의하는 등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간다. ◇국내외 투자유치 전략=해외 투자설명회와 함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세계화상(華商)대회 등의 기회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부산과학산단의 외국인전용부지(9만여평) 조성 공사가 지난해 마무리됨에 따라 자동차부품,신소재 등 1억달러 상당의 외자유치를 위해 일본과 중국,홍콩,싱가포르, 미주 지역에서 투자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올 상반기 미국 조선기자재 업체인 L사, 프랑스 자동차부품 P사,덴마크 제조업체인 G사와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초 부산신항 일부 선석이 개장됨에 따라 배후 물류부지에 대한 세계적인 물류기업 유치(2억달러상당)를 위해 해양수산부,부산항만공사 등 유관기관과의 합동 해외 IR은 물론 단독 투자설명회도 개최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 11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열리는 CEO서미트, 기업인자문회의,투자박람회를 최대한 활용하고 국제세미나와 기업인 초청 등을 통해 경제자유구역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문제점=최근들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지역 특성을 살린 해양관련 부문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대규모 배후물류단지를 조성,다국적 물류기업을 유치해 경제자유구역을 동북아 물류 거점으로 성장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통령 직속 동북아시대위원회 부산진해특별위원회도 최근 현재 부산신항 북측 컨테이너부두 배후 물류부지로 잡힌 37만평을 배후지(93만3000평) 전체로 확대하고 2단계로 잡힌 웅동지구 물류부지(61만5000평)도 조기에 건설해야 한다고 건의한 바 있다. 또한 경제자유구역이 국제비지니스 중심도시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인근에 국제적인 규모의 신공항 건설이 조기에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김광현 기자 ghkim@sed.co.kr 입력시간 : 2005-03-09 16:5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