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년 車·기계 '맑음' 철강·섬유 '흐림'

■ 산업硏, 거시경제 전망경기 하반기 본격회복 성장률 3.7% 예상 >>관련기사 특소세 인하와 월드컵개최ㆍ선진국 경기회복 등에 힘입어 내년에 자동차ㆍ일반기계ㆍ조선등 기계업종 및 가전의 수출과 생산이 5~10%가량 늘어나고 특히 통신기기는 성장률 두자릿수의 호황이 예상된다. 반도체는 4%의 성장으로 최악의 상황을 벗어나지만 철강과 섬유ㆍ석유화학은 침체의 늪을 탈출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3.7%, 소비와 투자는 각각 2.5%와 3.9%증가할 전망이다. 또 수출과 수입은 각각 6.0%와 7.9%증가해 무역수지흑자규모는 올해 100억달러보다 다소 적은 74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구원은 21일 '2002년 한국산업 및 거시경제 전망'을 통해 이같이 내다봤다. 연구원은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2%에 그치겠지만 내년에는 상반기 2.5%에서 하반기에는 4.8%로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올해중 8.6% 급락할 것으로 보이는 설비투자는 1분기까지 감소세를 이어가다 2분기부터 회복세로 돌아서고 하반기에는 실물경제의 회복에 힘입어 12.5%의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어서 주목된다. 박중구 박사는 "내년 하반기부터 경제회복 속도가 빨라지겠지만 2년 연속 2~3%대의 경제성장은 성장잠재력까지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며 "거시경제의 목표를 물가안정보다는 유효수효 창출을 통한 성장촉진과 경쟁력 강화에 두는 동시에 추가적인 내수진작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권구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