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대병원 이동수교수 '네이처'에 논문발표

서울대병원 이동수교수 '네이처'에 논문발표 "인공 달팽이관 이식때 청력회복 가능 예측" 첨단 핵의학 장치인 PET(Positron Emmision Tomographyㆍ양전자 단층촬영) 검사로 뇌의 포도당 대사율을 측정, 중증 난청 어린이 환자에게 인공 달팽이관을 이식했을 때 청력 회복이 가능한지를 예측한 국내 의학자의 논문이 세계적 과학잡지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실렸다. 화제의 주인공은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이동수교수. 이 교수는 '인공와우 이식 난청환자 뇌의 교차 가소성'이란 논문을 통해 PET로 관찰했을 때 뇌의 청각피질의 포도당 대사율과 인공 달팽이관 이식 후 언어청각 훈련을 통해 도달한 언어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 교수는 인공 달팽이관 이식수술을 한 중증난청 어린이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청각기능을 담당하는 뇌신경의 포도당 대사율을 연구한 결과 중증 난청 상태에서 청각피질 대사가 감소하면 수술 후 언어능력 회복이 좋았다. 반면 정상적이면 오히려 회복되지 않았다는 것. 이 교수는 "청각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분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다른 기능을 하도록 바뀐다"며 "이는 시각장애인의 시각기능 담당 뇌 부위가 촉각기능을 하도록 바뀌어 촉각이 발달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