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DJP 비공개회동 정치권 관심

日대처방안등 정국현안 논의 오간듯김대중(DJ) 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JP) 명예총재가 지난 9일 오전 청와대에서 비공개 조찬회동을 가진데 대해 정치권의 관심이 커지고있다. 이번 DJP회동은 지난 5월25일 청와대 부부동반 만찬회동 이후 한달 보름만에 이뤄진 것이다. 그러나 DJP 회동이 비공개리에 열린 것은 지난 연말 민주당과 자민련의 공조복원이후 처음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김 명예총재가 일본 연립 3여당 간사장 일행과의 오찬 회동을 앞두고 회동을 요청해 이뤄졌다"며 "일본 교과서왜곡 대처방안이 주의제로 올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자민련 변웅전 대변인은 "한일관계를 비롯한 정국현안 전반에 대한 폭 넓은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정황을 감안할 때 김 대통령과 김 명예총재는 교과서 왜곡문제 외에도 ▦언론사 세무조사 ▦수출촉진과 외국인 투자유치 등 경제회복 방안 ▦자민련 원철희의원 대법원 판결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문제를 비롯한 남북현안 등 국정전반에 대해 깊은 논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고위관계자는 10일 "어제 DJP 회동에서 교과서 얘기만 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언론문제와 원철희 의원 공판문제가 주로 논의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민련 일각에서도 비슷한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 자민련 한 당직자는 언론사 세무조사문제와 관련, "김 명예총재가 '잘못된 세금은 국고로 환수해야 하지만 사주들의 구속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지론을 김 대통령에게 전달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철희 의원 문제도 대법원 판결에서 의원직을 상실할 경우 자민련이 비교섭단체로 전락되면서 2여공조로 구축한 여권의 정국운영 구도가 흔들려 정국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간단치 않다는 점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논의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JP는 또 김정일 서울답방을 포함, 남북현안에 대해 보수층의 입장을 전달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한편 김 명예총재는 이번 회동을 공개하지 않은데 대해 "공개할 것이 있고 하지말아야 할 것이 있다"며 "대통령을 만난 것을 소문내고 다닐 수는 없지 않느냐"고 설명했다고 핵심 측근이 전했다. 황인선기자 양정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