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하버드대학 강의실 내 노트북 사용 금지 확산

19일(현지시간) 하버드대 학보인 크림슨(www.thecrimson.com)은 ‘정의란 무엇인가’로 유명한 마이클 샌델교수를 포함, 하버드대 강의실내에서 학부 학생들에게 노트북 사용을 금지한 교수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하버드대에서 방문교수로 역사학을 가르치고 있는 새뮤얼 지프 브라운대 교수는 “학생들 모두가 수업중에 노트북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고있다”면서 노트북 사용 금지 배경을 설명했다.


하버드대 교수들의 이런 움직임은 온라인 교육시스템인 `EdX'를 의욕적으로 선보이며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인터넷 수업에 공을 들이고 있는 학교측의 방침과는 대조적이다.

하버드 문리대의 공보담당관인 제프 닐은 수업 내 노트북 사용에 대한 학교측의 공식입장은 없지만 교수 재량에 따라 사용을 금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앨리슨 시먼스 철학교수는 점점 더 많은 교수가 수업중 노트북 사용 문제에 어떻게 대처할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교수 회의나 만찬에서는 어김없이 이 문제를 얘기한다”고 소개했다.

시먼스 교수도 수업중에 허락 없이는 노트북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학생들이 수업중에 노트북을 사용하면 온라인상에서 유용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지만 학생들이 수업에 열중하지 못한다는 점 때문이다. 인터넷 검색 유혹과 노트북 자판소리 모두가 수업 방해요소다.


특히 시먼스 교수는 노트북을 사용해 필기를 하면 개념을 이해하고 종합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내용을 그대로 받아치기만 하는 문제가 있다고 염려했다.

관련기사



그는 “단순한 문제는 아니지만 노트북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의 장점이 허용할 때의 이점보다 많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지프 교수도 노트북은 교수와 학생간 소통을 가로막는다고 생각한다면서 “강의중에 노트북이 놓여 있으면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부 학생들의 생각은 다르다. 지난 학기 샌델 교수의 ‘정의론’ 수업을 들은 신입생 헨리 리미턴은 필기 속도가 빠르지 않아 노트북으로 강의내용을 적었는데, 샌델 교수가 몇주 뒤 갑자기 금지 조치를 내리는 바람에 불편을 겪었다고 불평했다.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에서 수업을 들은 한 한국인 학생도 “경영대학원의 경우 교수의 재량에 따라 아예 인터넷을 차단한다”면서 “따라서 노트북은 단순한 필기용으로만 사용한다”고 전했다.

크림슨의 보도가 나오자 하버드 인터넷 게시판에서는 노트북 허용 여부를 놓고 찬반논란이 일었다.

한 학생은 “수업중에는 무선인터넷을 차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에 다른 학생은 “지금 수업중인데 크림슨에 실린 기사를 막 읽고 있다”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 다른 학생은 하버드 경영대학원은 수업중 모든 전자장비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면서 “하버드 학부와 케네디스쿨, 경영대학원 모두를 다녔지만 노트북 사용을 금한 경영대학원에서만큼 집중해서 수업을 들은 적은 없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