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국민 10명 중 6명 "노후, 국민연금에 의존"

특임장관실 ‘한국인의 가치관’ 여론조사, 국민들 ‘학계’ 가장 신뢰…소통 평점은 41점

우리나라 국민들이 노후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 국민연금ㆍ공적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비율이 59.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임장관실(장관 이재오)은 지난 2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한국인의 가치관’이라는 제목의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여론조사는 ▦통일안보와 대북관계 ▦국가에 대한 자부심 ▦저출산ㆍ고령화 ▦다문화사회 ▦양성평등 ▦삶에 대한 가치관 ▦기부문화와 사회봉사 등으로 나눠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중복응답이긴 하나 국민연금ㆍ공적연금이 압도적 비율을 보였으며, 본인과 배우자의 근로소득(38.6%)과 개인연금(34.7%), 예금ㆍ적금(32.9%)을 통해 노후를 대비하고 있는 이들도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신뢰하고 있는 집단은 학계이며,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사회 지도층을 신뢰할 수 없다며 불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집단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의 22.3%가 학계를 첫 손에 꼽았으며, 그 다음 언론(20.6%)과 대기업(15.6%), 공무원(10.2%), 검찰ㆍ법원(8.1%) 순으로 신뢰했다. 그러나 청와대(3.4%)와 국회(2.9%), 경찰(2.9%)은 국민에게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우리나라 사회 지도층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고 했으며, 연령별로 보면 주로 20대(66.8%), 30대(74.8%), 40대(71.1%)가 강한 불신감을 표출했다. 아울러 소통관계 평점 질문에 따른 전체 평점은 41.8점으로 낮았으며, 그 중 여당과 야당(28.6점)과 국회와 국민(37.1점)에 대한 평점이 낮아 정치권의 불통이 가장 심하다고 국민들은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자신의 이념성향에 대해 국민의 36%가 자신은 ‘보수’라고 답했으며, 중도 35.6%, 진보 26.1%로 비교적 고루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한민국에 대한 자부심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약 66%의 국민들이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높다고 느끼고 있으며, 80% 정도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아가는 것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이외에 저출산 문제의 근본적 원인으로 대다수 응답자들은 양육비 부담과 자녀교육 문제를 꼽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정책 역시 양육수당(보육비) 지원 확대를 지목했다. 한편 특임장관실의 이번 여론조사는 에이스리서치센터(2월)와 KDN(4월)에 각각 의뢰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19명(2월)과 1,000명(4월)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7%P(2월)ㆍ±3.1%P(4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