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벤처·이노비즈 기업 공동협의체 만들어 인지도·권익 높일 것

성명기 이노비즈협회장, 국책연구기관 인력 파견해 중기 제품화 지원정책 펴야

성명기

"벤처기업과 이노비즈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방침입니다"

18일 경기도 분당 이노비즈협회 집무실에서 만난 성명기(사진ㆍ59) 이노비즈협회 신임회장은 "최근 벤처협회장 등을 만나 서로 '벤처'와 '이노비즈'라는 말에 거부 반응을 보이지 말고 협의체를 만들어 정책 비전을 제시해보자는 수준에서 논의를 했다"며 "이노비즈 인증 기업중 60%가 벤처 인증을 중복으로 가지고 있는데 이제 협의체가 만들어지면 벤처와 이노비즈기업들의 권익을 높이기 위한 논의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10년부터 이노비즈기업 인증과 벤처기업 확인 제도 통합을 본격 검토하겠다고 해왔지만 지금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벤처업계와 이노비즈 업계가 첨예한 갈등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8일 서울 모처의 한 식당에서 성 회장을 비롯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남민우 벤처기업협회 회장, 이은정 여성벤처협회 회장이 모임을 갖고 해결책을 모색하기로 했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이노비즈협회는 두 인증의 통합보다는 업력 3년 이상의 벤처기업이 이노비즈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단계별로 차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성 회장은 "벤처기업은 직원 한 두 명으로도 인정을 받지만 이노비즈기업은 업력 3년 이상의 기업들로 평균 매출액이 140억원대(2011년 기준)에 달하는 우량기업들"이라며 "한국은 중견기업 비중이 매우 적은데 벤처기업에서 혁신형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증을 세분화하는 것이 기업 육성의 취지에도 맞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성 회장은 이노비즈 기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이노비즈 기업에 특화된 지원제도를 법제화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국민들 머리 속에 벤처는 각인돼 있지만 이노비즈 기업은 우량기업들인데도 인지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올해 이노비즈 법제화 토론회를 개최해 구체적인 법률안을 마련하는 한편 '이노비즈기업 전용 투자 펀드' 신설도 정부에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성 회장은 중소기업의 인력 미스매치와 관련해서는 국책 연구기관의 우수 연구인력들을 중소기업에 파견해 제품화 단계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도 우수 연구인력에 목마른 상황인데 국책 연구기관의 우수 인력을 파견해주면 중소기업들은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한국도 기술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실제 수익성을 높였을 때 연구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제도화하고 연구원이 중소기업에 취직할 때 인건비를 일부 지원해주는 방안 등이 검토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20일 서울 논현동 임피리얼팰리스호텔에서 취임식을 갖는 성 회장은 여의시스템 대표로 연내 상장을 목표로 이노비즈 기업 특례 제도를 통해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있다. 이노비즈 협회는 혁신형 중소기업 대표 단체로 지난해말 기준 1만6,243개의 인증 기업과 8,187개 회원사를 두고 있다.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