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서경 펀드 닥터] GDP·미국 증시 등 호조에 국내주식형 2.58% 상승


국내주식형펀드는 수익률은 미국과 유럽 증시의 상승과 국내 1∙4분기 국내총생산(GDP) 호조 등에 힘입어 한 주 만에 강세로 전환됐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이 26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국내주식형 전체로는 한 주간 2.58% 상승했다. 일반주식펀드는 2.24% 상승했지만 코스피지수 수익률을 하회했다. 코스피지수는 외국인 순매도 지속에도 불구, 실적 기대감에 따른 대형주의 강세로 한 주간 2.71% 상승했고 코스닥지수는 560선을 넘나들며 1.51% 올랐다.


대형주 중심으로 코스피지수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K200인덱스펀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거뒀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K200인덱스펀드의 주간 성과는 2.68%로 가장 높았다. 중소형주식펀드는 2.10%의 주간 수익률을 기록했다. 배당주식펀드는 2.65%의 주간 수익률로 우수한 모습을 보였다. 주식형보다 주식투자 비중이 낮은 일반주식혼합펀드와 일반채권혼합펀드는 각각 1.33%, 0.76%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절대수익추구형인 채권알파와 시장중립펀드는 각각 0.11%, 0.13%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공모주하이일드펀드는 0.29%의 수익률로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

국내채권펀드는 금리인하 기대 속 강세 흐름을 지속했다. ECB 금리인하 기대감 및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등으로 채권금리가 하락한 가운데 국내채권펀드 수익률은 0.12%로 강세를 보였다.

채권 시장이 중장기 채권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중기채권펀드가 0.15%의 수익률로 가장 선전했다. 일반채권펀드는 0.10%, AAA이상 등급에 투자하는 우량채권펀드는 0.10%의 수익률로 양호한 성과를 거뒀다. 투자적격등급(BBB) 이하 채권과 어음ㆍ후순위채권 등에 투자하는 하이일드채권펀드 수익률은 0.08%를 기록했고 초단기채권펀드의 수익률은 0.03%로 가장 낮았다.

해외주식펀드는 한 주간 2.57% 올랐다. 해외주식혼합형과 해외채권혼합형은 각각 1.68%, 0.75% 올랐다. 커머더티형ㆍ해외채권형 펀드 역시 각각 0.52%, 0.26%의 플러스 수익률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주식펀드가 3.60%로 우수했고 일본주식펀드도 한 주간 3.53% 수익률을 기록해 강세가 이어졌다. 일본주식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30%를 넘어섰다.



※ 본 자료는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조언이나 매매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의 내용은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이것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에 대해서도 보증하지 않습니다.



◇대상

관련기사



순자산액 상위 펀드, 운용사별 가나다 순으로 나열.

◇유형구분

주 식 형: 약관상 최고 주식투자한도가 70%초과 펀드.

혼 합 형: 약관상 주식투자한도가 10~70%인 펀드.

채 권 형: 주식투자가 불가능하면서 채권, CP 등 채권형 자산에만 투자하는 시가평가 펀드.

해외주식형: 약관상 최고 주식투자한도가 70%를 초과하면서 투자가능 주식의 2/3이상을 해외주식(또는 해외특정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 크게 복합지역 투자형, 특정국가 투자형, 섹터주식 투자형으로 구분

자료제공: ZEROIN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