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감원·검찰, 농협사태 조사 착수

전산망 장애 사흘째 지속

농협의 금융전산망 장애가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감독원과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시스템의 대부분이 복구됐지만 완전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더 걸린 것으로 보여 3,000만명에 이르는 농협 고객들의 불편과 피해가 갈수록 확산되는 양상이다. 농협도 상황이 일파만파 확대되자 최원병 회장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는 등 사태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초기 대응에서 사고규모 축소와 은폐에 급급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부장검사 김영대)는 14일 농협 금융전산망 장애 사고와 관련해 내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우선 사고원인 분석작업을 통해 범죄개입 여부를 파악한 뒤 수사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검찰은 지난 13일 서울 양재동 농협 IT본부에 수사관들을 보내 문제가 시작된 중계서버의 접속기록 등 각종 전산자료 등을 확보한 뒤 분석작업을 벌이고 있다. 검찰은 자료 분석 결과 범죄혐의가 드러나면 관련자들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농협 측에 수사관들을 보내 협력업체 직원의 노트북과 사고 당일 전산망 접속기록 등 전산자료를 확보했다”며 “자료 양이 많아 분석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도 특별검사에 나선다. 금감원 관계자는 “농협의 전산 시스템이 완전히 복구되는 대로 특별검사에 착수할 방침”이라며 “이르면 15일께 검사인력을 파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금감원은 정보기술(IT) 전문가 2명과 농협 담당 직원 1명을 전산장애 복구 지원에 투입한 상태다. 농협 측은 “시스템 완전복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사태에 따른 피해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를 고객들이 제시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고객이 피해내역 입증을 위한 자료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향후 법적 다툼이 잇따를 것으로 보여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