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글로벌 자동차 업체 '중국 판매 쇼크'에 한국 마케팅예산 최대 40% 삭감

폭스바겐·FCA코리아 등 신차출시 연기 등 긴축 나서

중국 자동차 시장이 덜컹거리면 국내 진출한 수입차 업체들까지 경고등이 켜졌다. 글로벌 자동차 그룹들이 중국에서 벌어들이는 매출이 워낙 크다 보니 중국발(發) 쇼크가 국내 수입차 법인 예산 삭감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온 셈이다.

3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아우디가 속한 폭스바겐그룹 본사는 최근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 배정된 올 마케팅 예산 가운데 40%를 삭감했다. 중국 판매 부진으로 본사가 위기에 놓이자 다른 지역 법인까지 긴축정책을 실시한 것이다.


수입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본사 차원에서 전 세계 법인에 올 마케팅 예산을 줄이라는 지시를 내렸다"며 "아우디코리아의 경우 신차 행사 등을 올 상반기에 전부 소화해 큰 타격은 없지만 중국 판매 악화로 인한 위기감이 한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폭스바겐 중국합작법인 '일기VW'이 판매하고 있는 아우디 'A6'의 경우 지난해 7월 1만2,328대에서 올 7월 8,840대로 판매량이 대폭 줄었다. 아우디를 포함해 폭스바겐의 '골프' '제타' 등을 포함해 '일기VW'이 7월 한 달간 판매한 전체 판매량도 전년 동기 대비 5만대나 감소한 10만858대에 그쳤다.


폭스바겐은 전 세계 판매실적에서 중국시장이 차지하는 판매량이 6%를 차지할 만큼 의존도가 높다. 중국 자동차 시장 판매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하이VW' 판매량도 지난해 7월 약 13만대에서 1년 새 3만3,000대가량 감소했다.

관련기사



피아트-크라이슬러그룹(FCA)의 국내 법인인 FCA코리아 역시 올 출시 예정이던 신차 계획이 연기되면서 관련 예산이 고스란히 삭감됐다. FCA코리아의 경우 중국에 있는 아시아·태평양 총괄로부터 매년 예산을 배정받는다.

연초 배정된 예산이 중간에 삭감되진 않지만 계획된 출시가 미뤄지는 등 행사를 축소하는 형태로 긴축정책을 실시한다. FCA코리아의 한 관계자는 "올해 말 마케팅·프로모션 등 분야별로 예산안을 중국으로 보내는데 지금처럼 중국 판매가 부진할 경우 한국으로 배정될 내년 예산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둥펑닛산이나 일기도요타 등 중국 내 판매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판매량이 늘어난 곳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업체가 중국 시장 여파를 올 연말께 더욱 피부로 느끼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BMW나 포드 같은 경우도 당초 국내 시장에 공격적으로 투입하던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BMW 전체에서 중국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3%나 돼 전세계 시장 중 가장 매출액이 높은 시장으로 꼽힌다.

업체의 한 관계자는 "중국과 한국 등 성장성이 높은 시장에 투자하던 마케팅 비용이 최근 몇 년 새 눈에 띄게 늘었기 때문에 그리스·중국 등 다른 지역 경기 부진이 한국까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최근 들어 본사에서도 마케팅 비용 등을 줄이라는 압박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