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하철 종이승차권 사라진다

내년 상반기…무임권도 교통카드로 대체

내년 상반기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함께 ‘1회용 종이 승차권’이 사라지게 된다. 이는 지난 1974년 지하철 1호선 개통 이후 34년 만이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ㆍ국가유공자 등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하는 무임권은 오는 8월부터 RF(Radio Frequency) 방식의 교통카드로 교체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1회용 ‘종이승차권(MSㆍMagnetic Stripe)’을 반영구적인 ‘RF(Radio Frequency) 교통카드’로 교체하기로 하고 발행 방법 등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26일 이같이 밝혔다. ◇교체 이유=이 승차권의 사용 비율은 갈수록 줄어드는 데 반해 인구 고령화에 따라 무임 승차권 수요는 해마다 늘어 지하철 운영 기관의 재정 악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RF 교통카드의 보급 확대에 따라 수도권 지하철 승객의 종이승차권 사용 비율은 2003년 39%에서 2006년 22%로 줄어들었지만 같은 기간 무임 승차권 비율은 24%(2억1,000명)에서 55%(2억7,900명)로 배 이상 증가했다. 이로 인해 현재 연간 19억원 정도에 이르는 무임승차권 제작 비용은 고스란히 지하철 운영기관의 재정 부담으로 남게 되고 역무원에게 매표 업무가 가중돼 역무 인력 운영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또 다음해 4월 개통 예정인 9호선과 2010년 운행 예정인 신(新)분당선 등은 모두 RF 전용시스템으로 구축될 예정이어서 종이승차권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호환성에 문제가 생길 우려도 제기돼왔다. ◇언제부터 대체되나=시는 무임권 발급 대상자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6월부터 접수해 무임권 교통카드를 발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지하철1~8호선 결제 시스템을 RF전용으로 개편하고 금융회사나 신용카드 회사를 통해 7월까지 무임승차 대상자에게 ‘RF칩’이 내장된 카드를 발급, 8월부터 사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다만 일차적으로 서울시민에만 발행하며 수도권 전체로 확대하는 방안은 해당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추진할 예정이다. 또 지방 거주자 등 카드 발급이 어려운 무임 승차자를 위해서는 별도의 무임용 RF 1회권을 도입, 운영할 방침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RF권은 시민들의 불편 해소와 역무원의 업무 경감, 종이승차권 제작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를 수도권에 확대하는 방안도 조속히 추진, 시민들이 불편을 겪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