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기차 상용화 앞당긴다/세계 차 업계 고객끌기 임대비 일부부담

◎수리보증기간 연장등 파격서비스 나서세계 주요 자동차메이커들이 전기자동차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파격적인 임대(리스)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월간 임대비용의 일부를 부담하고 서비스와 수리보증 기간등을 늘려 판매가격이 비싼 전기자동차 구입을 망설여온 소비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것이다. 메이커들은 3년을 임대기준으로 차량유지비용과 보험비를 포함, 매달 4백∼5백50달러에 전기자동차를 임대할 계획이다. 임대대상은 정부기관이나 공공사업부문등 대형 소비자 중심이며 제너럴모터스(GM)와 혼다는 딜러망을 통해 일반 소비자들에게까지도 임대를 시작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보급확대에는 1회 충전후 달릴 수 있는 거리가 제한적인 점이 최대의 걸림돌이다. 현재 개발된 기술로는 최고 주행거리가 1백60㎞정도인데다 일단 정지한 후엔 충전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닛산은 올해내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 1백60㎞까지 주행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이 리튬이온 전지의 가격이 매우 비싸 자동차메이커들의 새로운 고민거리가 되고있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교체비용이 6천∼3만2천달러까지 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혼다의 니켈­메탈 하이브리드 배터리의 주행거리가 1백30㎞, 포드 크라이슬러 GM의 납­산 배터리는 주행거리도 80㎞정도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어려움 가운데서도 임대전략이 상당한 효과를 거둘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내년 뉴욕시에 신규등록될 경자동차­경트럭중 약 2%인 7천대를 전기자동차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전기자동차의 미래를 밝혀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최인철 기자>

관련기사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