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우리나라에도 특성화 고교 설립이 가능해진다. 교육부는 선진국에서 시행중인 소규모 특성화 고교제도를 도입키로 결정, 고교설립에 필요한 시설기준을 완화키로 했다. 학원이 아닌 정규 고등학교수준의 디자인학교, 자동차정비학교, 연극·영화학교, 골프학교 등이 현실화 되는 것이다. 뒤늦은 감이 있지만 해볼만한 시도다.교육부가 도입키로 확정한 특성화 고교의 설립기준을 보면 건축법 관련규정에 의한 최소 면적 및 학생 1인당 최소 면적 확보 정도로 완화했다. 학생 총 정원이 60명 이상만 되면 설립이 가능해진 것이다. 지금까지는 학생수에 따라 일정면적을 확보토록 엄격하게 규정해 왔다. 또 학급수별로도 방의 종류 및 수, 면적도 세세하게 규정, 요즘같은 때에는 사립학교 설립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교육부의 시설 기준완화는 학교설립 비용을 최소 규모로 줄이려는 것이다. 현재의 기준에 따라 서울지역에서 1백50명 규모의 실업계 고교를 설립할 경우 96억원정도가 소요된다. 특성화 고교는 운동장이 없어도 되기 때문에 28억원 정도면 설립할 수 있다.
교육부는 특성화 고교제도 도입에 대해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욕구를 충족시킬 수있는 교육체제를 구축하겠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기존의 학교체제로서는 이를 수용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사실 우리나라의 교육은 대학입시 위주다. 인성교육은 뒷전이다. 요즘 학교 폭력이 난무하고 있는 것도 어쩌면 이같은 입시위주 교육이 낳은 부작용일는지 모른다. 역대 정권은 새로 들어설 때마다, 장관이 바뀔때마다 한번씩은 교육개혁을 외치곤 했지만 공염불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사교육비가 연간 10조원을 넘어서 15조원에 이른다는 통계도 나와 있다. 모두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 탓이다.
이번에 교육부가 특성화 고교제도를 도입키로 한 것은 잘 한 일이다. 지금 세계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를 요구하고 있다. 인문계 고교를 졸업 후 대학에 실패, 재수 3수 등의 낭인생활을 하는 것보다 고교때부터 특성화 학교를 택해 전문가의 길을 걷는 것이 앞서 가는 길이기도 하다.
독일에는 마이스터(장인)제도가 있다. 한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에게 주는 호칭이다. 우리나라에도 최근 명장제도가 도입됐다. 산업분야에 20년이상 근무한 기능인 가운데서 선발된다. 세상이 전문가 시대로 변한 것이다.
특성화 고교의 문제는 운영에 있다. 교육당국의 감독이 소홀할 경우 자칫 일반 학원으로 전락할 우려도 있다. 취지를 잘 살리면 현재의 우리나라 교육제도에 큰 변화도 예상된다. 세계에 자랑할 만한 마이스터의 출현도 기대해 볼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