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무선통신 또 불붙은 속도경쟁

영화 한편 받는데 22초 4배 빠른 3밴드 LTE-A

SKT·LGU+ 시연 성공 서로 "세계 최초 "신경전


이동통신업계가 롱텀에볼루션(LTE) 보다 4배 빠른 기술 개발에 성공, 무선통신 속도 경쟁이 다시 달아오르고 있다. 3개 주파수 대역을 한 데 묶는 3밴드(band)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기술로 최대 300메가비피에스(Mbps) 시연에 잇따라 성공하면서 이통사간 신경전도 한창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20일 자사가 세계 최초로 3밴드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드(LTE-A)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2개 대역까지만 묶을 수 있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3개(10+10+20MHz) 대역을 묶을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이통사들이 잇따라 3밴드 LTE-A 기술 개발에 성공함에 따라 전용 칩셋과 단말기 개발이 완료되면 현재보다 더 빠른 속도의 서비스를 이용자들이 즐길 수 있을 전망이다. 업계는 상용화 시기를 올해 말 이후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특히 75Mbps의 현재 LTE보다 4배 빠른 3밴드 LTE-A가 상용화될 경우 800메가바이트(MB) 용량의 영화 한 편을 내려받는 데 최고 속도 기준으로 22초가 걸린다. 같은 분량의 영화를 다운받으려면 3G 환경에서는 7분 25초, LTE는 1분 25초, LTE-A는 43초가 걸린다. 오는 7월 전국 서비스가 예상되는 광대역 LTE-A라 하더라도 28초가 소요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3밴드 LTE-A 기술 개발을 위해 장비제조사와 TF팀을 운영하는 등 긴밀히 협력해왔다"며 "다음달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3개 광대역 주파수를 묶어 3밴드 LTE-A로 가능한 최고 속도인 450Mbps의 무선통신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국내 통신사 중 가장 많은 80MHz폭의 LTE 주파수 대역을 보유한 것을 토대로 장비 제조사와 함께 LTE 네트워크 준비를 해 왔다"며 "올해 내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의 국제 표준화 작업과 기지국 장비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CA 기술과 관련해 이동통신 국제 표준화 단체 3GPP가 정한 기술 표준에 따르면 이론적으로는 20MHz 대역 5개를 연결해 최대 750Mbps까지 구현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 LTE 속도의 10배에 해당된다.

KT는 지난해 말 LTE망과 와이파이망을 묶는 이종망 병합전송 CA 기술을 개발해 속도 경쟁에 동참 중이다. KT의 이종망 CA는 광대역 LTE 최고 속도인 150Mbps에 프리미엄 와이파이 속도인 150~300Mbps를 초광대역화해 최종적으로 300~450Mbps급의 속도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한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세계 최초라는 표현을 두고 각각 자신들이 먼저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며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