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재계- 강성 노조 출현 가능성 커 대책 부심

[2011 신년 기획]<br>[올해의 핫이슈] <2> 복수 노조, 노사정 움직임

기업들은 오는 7월부터 복수노조가 허용됨에 따라 이를 둘러싼 현장 단위의 노사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예상하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경영계는 특히 노조가 없거나 온건노조가 있는 사업장에서 복수노조 허용을 계기로 일부 세력들이 강성노조를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 복수노조 허용으로 노노갈등이 심화되고 단체교섭을 둘러싼 혼란 및 기업 노무관리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게 재계의 판단이다. 실제로 양대 노총은 복수노조가 허용되면 삼성과 포스코 등 사실상 노조가 없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조설립을 추진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밝혀왔다. 현재 대기업 중 무노조 사업장은 60여개로 추정되며 삼성그룹과 CJㆍ신세계ㆍLG상사 등이 대표적이다. 또 포스코 등과 같이 노조는 있지만 활동이 별로 없는 기업도 상당수 있다. 이와 관련, 삼성의 한 관계자는 "현재 사업장 단위로 대표를 선출해 사측과 소통하는 '한가족협의회'가 기능하고 있다"면서 "외부에서는 복수노조 허용을 계기로 삼성도 노조를 만들어야 하지 않느냐는 얘기가 나오지만 정작 내부에서는 별로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도 "노조 대신 노경협의회를 통해 경영현안 등을 협의하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신규 노조 출범 등의 의견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해당 기업들은 일단 겉으로는 복수노조가 허용되더라도 당장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복수노조 허용 이후 노조설립을 요구하거나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빠르게 확산될 경우 무노조 대기업들도 그 여파를 벗어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무노조 기업들은 내년 직원들의 불만요인을 선제적으로 해소해 노조 조직화 움직임을 차단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하지만 노조 신설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확산되면 분위기를 타고 무노조 사업장에도 노조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실제로 경영계는 복수노조 허용시 기존 노조 반대 세력의 분화와 비정규직ㆍ사무직 노조 설립 등 노조설립 욕구가 분출, 노조 조직률이 초기 2~3년간 20% 이상 급속하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복수노조 대응 태스크포스 구성과 업종별 회의체 운영, 복수노조 대응 매뉴얼 작성ㆍ배포 등 복수노조 허용에 따른 경제계 차원의 대응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황인철 경총 기획홍보본부장은 "복수노조가 허용되면 다수의 노조가 난립하고 외부세력까지 개입하며 혼란이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돼 여러 경우의 수에 대비한 시나리오를 만들고 경영계 차원의 공동 대응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