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와대 비서진 추가 교체론 '솔솔'

이백만 홍보수석·정문수 경제보좌관 경질 후폭풍<br>"안정적 국정운용 위해 필요" 목소리 커져<br>靑 "추가 인사는 없을 것" 불구 귀추 주목

이백만 청와대 홍보수석과 정문수 경제 보좌관의 ‘경질’ 이후 청와대 내부에 불어오는 후폭풍이 예사롭지 않다. 청와대 참모들이 느끼는 긴장감도 예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이런 움직임은 청와대 비서진에 대한 추가적인 개편과 이를 통한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는 기류로 발전하는 양상이다. 일단 청와대는 외견상 비서진의 추가적인 인사는 없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번 인책이 부동산 정책에 대한 악화된 국민 여론을 달래기 위한 수습용 인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여타 부분에서 당장의 추가 인사를 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여권 전반에 흐르는 대세는 ‘폭’이 문제이지 추가 인사는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흐르는 듯하다. 당ㆍ청간의 코드 복원과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 말 안정적인 국정운용을 위해서라도 새로운 라인업을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진작부터 교체 가능성이 점쳐져 온 상황에서 강남 주택 구입 문제로 도마 위에 오른 이병완 비서실장과 외교통상부 장관에 지명된 송민순 안보정책실장, 여기에 교체가 확정된 홍보수석, 그리고 부동산 정책과 관련을 맺어온 일부 비서관들까지…, 교체의 명분을 삼을만한 요인은 얼마든지 있다는 것. 이 실장의 경우 아직 교체 가능성은 반반이다. 연말ㆍ연초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당으로 돌아가는 것에 맞춰 단행될 개각과 타이밍을 같이하는 관측이 유력하게 나돌고 있는 가운데 좀 더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하지만 ‘11ㆍ15 부동산대책’의 약발이 제대로 듣지 않고 이른바 ‘부동산발 민심 동요’가 조기에 가라앉지 않을 경우 분위기 일신을 위해 교체가 불가피하다는 여론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한나라당에서는 이미 교체 압력이 강하게 일고 있고 여당에서조차 구체적인 이름까지 거명된다. 후임자 물색에 진통을 겪고 있다는 소리도 나온다. 안보실은 송 실장의 후임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비서진의 추가적인 교체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상황에 따라서는 안보수석과 휘하 비서관들의 새판짜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홍보수석실은 물갈이가 기정 사실화하는 상황. 윤태영 대변인의 역량은 의심스럽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전형적인 코드 인사인 만큼 홍보수석을 맡을 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연쇄 인사가 예상된다. 이밖에 정문수 경제 보좌관과 함께 8ㆍ31 대책 등 참여정부의 부동산 정책 골간을 짜온 김수현 사회정책비서관 등에 대한 책임론도 수그러지지 않고 있다. 안팎으로 뒤숭숭한 청와대. 임기 1년여를 앞둔 노 대통령이 ‘386참모’들의 전면 교체를 주장하는 야당의 공세에 밀릴 경우 레임덕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국면 전환을 위해 어떤 카드를 들고 나올 지 관심이 쏠리고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