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집세 물가영향력 공공요금과 동일

작년 12월 기여율 19.6% 집세(전ㆍ월세)가 인플레이션의 주요 요인으로 부각되면서 공공요금과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ㆍ월세 가격이 전년 동기대비 6% 상승하면서 소비자물가상승률(3.2%)에 대한 기여율이 19.6%에 달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집세 기여율이 20%에 육박한 것은 처음 있는 일로 집세 급등기인 지난 80년대 후반에도 12~13%에 머물렀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집세의 소비자물가기여율은 올들어 지난해 4월 6.7% 이후 5월 7.4%, 7월 9.8%, 9월 16.1%, 11월 17.3%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공공요금은 전년 동기대비 4.2%가 올랐지만 가중치를 감안하면 기여율은 집세와 같은 19.6%였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하지만 공공요금의 경우 지난해 초 의보수가와 교통요금 인상으로 소비자물가기여율이 1월 46.5%에 이른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반면 집세의 경우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물가상승을 부추기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해 전체로는 공공요금의 기여율이 31.2%, 농축수산물 가격의 기여율이 15.9%, 집세가 10.3%였다. 안의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