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2단계 증시개혁 돌입

정부보유주 매각 42社로…200兆달할듯<br>폭락장세 막게 단계 매각등 안전장치 마련<br>주가 급등세…물량부담에 하락가능성 여전


중국이 정부 보유지분 매각 대상 기업을 4개에서 42개사로 대폭 확대하는 등 주식시장 체질개선을 위한 ‘2차 증시 개혁’에 돌입했다. 이를 통해 매각되는 정부지분 규모는 약 2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증권당국은 이번 조치로 지난 4월 1단계 개혁조치 발표 이후 발생한 폭락 장세가 재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번에는 단계적 매각과 기존 대주주들의 주식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주식시장은 이날 증시 체질개선에 대한 기대감과 정부의 시장안정대책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상하이 증시가 1,100선을 돌파하는 등 급등세를 보였다. ◇정부, 비거래 주식 대대적 매각= 20일 인민일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국 증권감독위원회(CSRC)는 중국 증시의 비거래주식 축소를 위한 2단계 조치로 42개사에 달하는 상장사의 정부지분을 매각키로 했다. 이번에 매각대상기업으로 선정된 곳은 바오산철강ㆍ양쯔전력ㆍSDICㆍ센첸농산 등으로 이중 28개사는 상해증시에, 나머지 14개는 센첸증시에 상장된 기업들이다. CSRC는 지난 3월9일 4개사를 대상으로 비거래주식을 시장에 매각하는 1단계 개혁프로그램을 발표한 바 있다. 차이나데일리는 이번에 매각되는 지분중 정부보유분은 약 2,000억달러(약 200조원)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중국이 이처럼 증시 개혁에 발벗고 나선 것은 경제 성장과 규모ㆍ잠재가치에 비해 주식시장과 상장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저평가돼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최근 8년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상장사들의 주가가 바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전체 발행주식의 3분의 2에 달하는 비거래주식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비거래주식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주식시장의 발전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단계적 매각ㆍ신주 발행 금지 등 안전장치 마련= 중국당국은 최근 물량 부담 우려로 증시가 폭락하는 전철을 되풀이 않기 위한 안전장치도 준비했다. 우선 △보유주식의 단계적 매각 △비거래 주식 매각 기업의 경우 신주 발행 금지 △매각 조건 주총에서 3분의 2 이상 합의를 원칙으로 하고 △매각한 주식중 일정부분 기존주주 의무 매입 △매입후 일정 기간 재매각 금지 등의 조치를 취했다. 또 핵심 인프라 등 사회 주요사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경우 정부가 보유지분 모두를 매각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수준의 지분을 확보하도록 했다. 국가소유자산감독관리운영위원회(SASA)의 한 관계자는 “정부지분을 최소화하는 방안은 과도적 조치”라며 “이는 정부 보유분을 유동화 하되 한꺼번에 풀지는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이미 지난 주초에 △상장사에 대한 자사주 매입을 허용 △증시 안정기금 마련 △부실 증권사 구제자금 지원 △배당세 감면 등의 보호장치를 마련한 바 있다. ◇물량 부담 따른 주가 하락 가능성은 여전=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여전히 우려섞인 눈길을 보내고 있다. 지난 4월 정부지분매각 프로그램 발표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8년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 치는 등 급락장을 가져왔던 것에서 보듯이 주식시장 개혁 프로그램은 물량 우려를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은 “투자자들은 이번 조치로 수요를 위축시키고 주식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에 우려하고 있다”며 “4월말 모든 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정부 발표후 주식시장이 97년 이래 최저로 폭락했던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