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컴퓨터 윤리교육 실종

초·중·고 교과내용 1개 단원 2.5% 불과초ㆍ중ㆍ고교의 정보통신 교육이 너무 기술적인 측면에만 치우쳐 정작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유해 인터넷매체에 대한 자정능력을 키워주는 윤리교육은 실종됐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부분의 학교전산망 조차 유해 인터넷사이트를 차단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지 않아 학교에서도 포르노를 볼 수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초ㆍ중ㆍ고교의 정보통신 관련 교과내용을 살펴보면 전체 정보화 교육 가운데 윤리에 관한 내용은 '정보의 이해와 윤리'라는 1개 단원으로 전체의 2.5%에 불과한 반면 자판다루기에서 고급 소프트웨어 학습까지 기능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다는 7차 교육과정에서도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정보통신교육을 연간 34시간 이상 실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가운데 컴퓨터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자신에게 유익한 것인가에 대한 내용은 전무하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학교 정보윤리교육 부재가 사회적인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서모(14ㆍK중 2년)군은 포르노사이트에 중독돼 상위권을 달리던 학업 성적이 떨어지는 등 부모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김군은 이제 웬만한 포르노에는 무감각해져 보다 말초적인 반인륜 사이트를 서핑하느라 밤을 새우기 일쑤다. 청소년보호위원회 같은 사이트에 들어가면 김군 같은 포르노에 중독된 청소년들의 "도와달라"는 글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그러나 정작 학교에서는 이들에 대한 배려나 지도가 전혀 없다. 고려대 심리학과 권정혜교수는 "청소년기에 수년을 인터넷에 빠져 지냈을 때 성인이 되어서까지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는 등 그 부작용을 생각하면 정말 안타깝다"면서 "학교에서 교과목 시간 등을 통해 테스트나 상담을 실시해 인터넷에 과도하게 빠져 있는 아이들을 조기에 발견 치료해 주는 교육과정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더군다나 컴퓨터가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돼 본격적인 정보통신교육을 받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는 교과는 문서작성, 프로그래밍 이해, 인터넷 등 모두가 컴퓨터 기능을 익히는 내용 일색이다. 이 같은 무관심속에 청소년들이 유해사이트를 통해 배우거나 모방한 범죄도 크게 늘고있는 추세다.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2월중 청소년 유해매체물로 결정된 사이트는 108건으로 지난해 1년간의 107건보다 오히려 많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러한 엽기, 폭탄물 제조, 자살사이트를 접한 청소년들이 사이트 내용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사례가 계속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5일 광주에서 잔혹사이트를 탐닉하던 중학생 형이 동생을 살해한 사건은 빙산의 일각이고 10대들 사이에는 잔혹 게임, 자살, 폭발물, 포르노 등의 반인륜 사이트를 누가 많이 알고 있느냐를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최근 '교과서 분석을 통한 현 초ㆍ중등학교 정보화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한 김민석의원은 "정보화 관련 교과과정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은 2.5%에 불과해 인터넷 유해매체물에 대한 청소년의 자정능력을 갖추게 하는 교육은 불가능하다"면서 "교육내용이 기능위주에서 벗어나 정보윤리에 대한 병행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석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