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오바마, 기업 '세금 도치' 차단 진퇴양난

조세 회피용 M&A 막기 법안 연내 의회 통과 불투명해져

기업도 법 시행전 이전 서둘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미 기업들이 다른 나라 기업을 인수합병(M&A)한 뒤 본사를 해외로 옮겨 자국의 높은 법인세율을 피하는 이른바 '세금 도치(tax inversion)' 문제를 놓고 진퇴양난에 빠졌다. 조세 회피용 M&A를 막기 위한 법안을 준비 중이지만 올해 안에 의회 통과가 불투명한데다 법안 통과 전에 본사 이전을 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는 탓이다.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로스앤젤레스(LA) 연설에서 "법인세를 내지 않으려 미국을 떠나는 기업은 '기업 탈영병'"이라며 "그들은 미 시민권을 포기했기 때문에 미 기업이라고 부르지 말아야 한다"며 맹비난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의회에 대해서도 법인세 회피용 M&A를 단속하기 위해 신속한 행동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지난 1982년 이후 절세 목적으로 본사를 해외로 옮긴 미 기업은 41곳에 이른다. 특히 최근에는 제약업체들이 오바마케어 실시에 따른 약값 인하 압력으로 수익성이 떨어지자 본사 이전 목적으로 해외 M&A에 속속 나서고 있다. 올 2월 미 메드트로닉은 아일랜드의 코비디언을 429억달러에 사들였고 애브비는 영국의 샤이어를 540억달러에 인수한다는 데 합의했다.

관련기사



22일에는 존 와이든 미 상원 재정위원장이 "25개의 미 기업들이 절세를 위해 해외 이전이나 M&A를 검토 중"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미 정부도 세제 구멍을 막기 위해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는 기업이 본사를 해외로 이전할 수 있는 외국인 지분율 기준을 20%에서 50%로 대폭 올리는 법안을 의회와 협의 중이다. 특히 기업들의 선제적인 본사 이전을 막기 위해 적용 대상을 올 5월 M&A건까지 소급하기로 했다.

하지만 급조된 법안이 역효과를 부르며 오바마 행정부가 딜레마에 빠졌다. FT는 "미 기업들은 소급 적용 법안이 통과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오히려 법안 통과 전 본사 이전을 위한 M&A가 활성화되는 중"이라고 전했다. 실제 공화당이 소급 적용 조항에 강하게 반대하는데다 35%에 달하는 법인세율 인하 등 세제 전면 개편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대기업 감세에 부정적이어서 올해 안으로 양당 간 빅딜이 성사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 법안이 통과돼봐야 앞으로 10년간 증가하는 세수가 200억달러에 불과해 실제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 대기업은 세금 감면 조항을 이용해 실질 세율이 낮은 반면 애매한 일부 소기업이나 신생 기업들만 법인세 최고세율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오바마 대통령이 올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해 세수 형평성을 화두로 꺼냈다는 비판마저 나온다.

영국의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미 기업의 해외 이전을 막기 위해서는 높은 법인세율과 아울러 세금 우대 등 세제상 허점을 손질하는 한편 다른 나라와 달리 해외에서 벌어들인 돈도 모두 과세하는 세제를 바꿔야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기업 애국심 호소도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FT는 "이윤에 민감한 기업에 행동 변화를 기대하는 것은 돈키호테 같은 짓"이라고 비꼬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