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환율 하락기 환테크 요령

해외펀드 가입자 환헤지 활용하고<br>외국여행땐 현금보다 카드가 유리

정부의 강력한 환시장 개입으로 환율이 가파르게 미끄러지고 있어 달러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환(換)테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최근처럼 환변동이 심할 때는 해외송금자 및 해외펀드 가입자 등 환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환율하락 시 알아두면 좋은 환테크 방법 다섯 가지를 소개한다. ◇달러수요자, 분할 매수=환율 하락 시 달러화 매도는 서두르되 달러 매입 시기는 최대한 늦춰야 한다. 또 달러가 필요하다면 환율 움직임에 따라 분할 매입하는 편이 좋다. 전문가들은 환율이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환전 시점을 늦추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위험 분산을 위한 분할 매수를 권장한다. 또 유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학비 등을 보낼 때는 해외송금시기를 최대한 늦춰 환율이 추가 하락한 뒤 송금하는 게 유리하다. 이밖에 수입업체의 경우 수입대금을 될 수 있으면 바로 송금하고 수출업체는 수출대금을 가급적 늦게 받는 것이 당연히 유리하다. 수출입에 있어서 환율 1원의 차이가 적은 금액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출입을 모두 한다면 결재대금을 달러로 받지 말고 원화로 환전해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해외 여행 시 카드 사용=해외 여행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활용해 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신용카드는 고객에게 대금을 청구하는 시점이 실제 거래하는 시점보다 늦어지기 때문이다. 해외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면 청구대금 결정까지 대략 3~4일 정도 소요된다. 물론 수수료 등을 감안하면 3~4일간 큰 이득을 기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환율이 떨어지는 때라면 카드결제가 유리하다. 그러나 카드사별로 외국에서 카드를 쓸 때 현지 통화로 이용한 금액의 약 1%를 국외 사용수수료로 내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해외펀드 가입자, 환헤지 적극 활용=해외펀드 가입자들은 사전에 선물환 계약을 체결해 환차손을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해외펀드를 판매하는 은행·증권사와 선물환 계약(미리 정해놓은 환율을 만기 때 적용하는 것)을 맺는 등 환헤지를 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예컨대 해외펀드에 1만달러를 투자할 때 1,030원으로 선물환 계약을 체결하면 1년 후 환율이 1,000원으로 급락해도 달러당 1,030원을 돌려받는다. 반면 환율이 1,050원대로 반등하더라도 환차익은 얻지 못한다. ◇환위험 줄여주는 상품 눈여겨 봐야=금융권에서 내놓은 외화예금·대출 상품들도 눈여겨 볼 만하다. 외화예금을 적절히 이용하면 환리스크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지금처럼 외화가 싸거나 지금 외화를 갖고 있다면 외화정기예금 및 적금을 이용하는 게 좋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의 ‘KB적립식 외화정기예금’은 고객이 환율의 상한과 하한을 정한 뒤 실제 환율이 상한을 넘으면 적립이 중단되고 하한 아래로 떨어지면 추가로 적립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분할매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상품이다. ◇숨겨진 수수료 꼼꼼히 따져야=외화예금을 이용할 때 유의해야 할 게 있다. 바로 ‘숨겨진 수수료’다. 대표적인 게 ‘환전 수수료’다. 원화를 외화를 바꿀 때만 환전 수수료가 붙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외화를 원화로 바꾸는 것도 환전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붙는다. 또 원화를 외화로 바꿔 저금한 돈을 달러가 아닌 외화(엔화·유로화·위안화 등)로 찾을 때는 ‘외화 출금 수수료’를 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