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민·주택銀 합병협상 내년초 재개 신속매듭"

"국민·주택銀 합병협상 내년초 재개 신속매듭" 노조 강제해산으로 국민ㆍ주택은행 합병협상도 새로운 분기점에 들어서게 됐다. 현재 두 은행간 합병협상은 지난 22일 두 은행장의 전격적인 합병선언후 사실상 중단 상태. 합병협상 핵심실무자인 주택은행 고위 관계자는 "두 은행이 노조 달래기와 영업정상화에 매달려 있는 형편"이라며 "협상재개 시기는 속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와 두 은행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늦어도 내년초부터는 구체적인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협상 시작후에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척될 전망이다. 주택은행 고위 관계자는 "밤을 새워서라도 협상작업에 들어갈 것"이라며 "협상은 철저하게 양해각서(MOU)에 바탕을 두고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1~2개월안에 모든 실무작업을 끝낼 것임을 시사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도 "일단 연말까지는 노조 반발에 따른 상처를 수습하는데 치중할 것"이라며 "내년초 10여명 정도로 구성된 합병추진위원회를 구성, 신속하게 협상작업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은행은 MOU상에서 존속법인을 제외하고는 합병은행 이름이나 합병비율, 합병은행장 등에 대해 아무것도 합의한 것이 없다. 이는 협상과정에서 진통이 상당할 것임을 의미한다. 합병비율은 주식가치 등을 통해 잠정 결정했지만, 두 은행 협상 실무자들 분위기를 보면 치열한 밀고당기기가 전개될 전망이다. 협상의 한 실무자는 "합병선언후 드러났듯 두 은행의 자존심 싸움이 엄청나다"며 "특히 노조의 강력한 반발을 뚫고 협상이 시작되는 만큼 어느 사항도 서로가 쉽사리 양보하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관심거리는 합병은행의 상징인 합병은행장 결정. 당초 금융계에선 김정태 주택은행장이 합병은행장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지만, 노조파업 등을 거치면서 김상훈행장을 포함, 두 사람 모두 합병은행장에 오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강해지고 있다. 원만한 갈등 봉합과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해선 제3의 인물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